풀뿌리라는 말이 한참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기초자치단체’라는 용어조차 어색하던 시절, 그것도 선거때마다 자주 등장하던 단어지만 그 뜻은 항상 우리가 사는 가장 낮은 곳을 향해 있었다.
요즘 건설업계를 보면 그 풀뿌리라는 단어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는다.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벌어지는 각종 공사로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앞 다투어 인천으로 사무실을 옮겨 올 만큼 인천은 말 그대로 ‘소문난 잔칫집’이다.
여기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내걸고 각종 공사를 수주하려는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의 노력도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그 결과로 업계와 발주처의 인식의 변화와 함께 인천지역 대형공사에 지역 일반건설업체가 40%이상 비율로 원도급공사에 참여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풀뿌리 건설업인 전문건설사들이 느끼는 체감효과는 전혀 달라 보인다.
일반건설이야 지역업체 참여율이 많게는 49%까지 오르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그것이 하도급공사까지는 미치니 못해 결국 지역공사에 건설노동자와 건설자재를 외부에서 수급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공사의 하도급이 공동도급의 대표사인 주계약사의 협력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다 인천지역에 뿌리를 둔 대형건설사도 적어 결국 지역건설 활성화가 대형건설업체들만을 위한 정책이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들려오고 있다.
오히려 인천지역 일반건설업체들의 참여가 전무한 인천대교 공사의 경우 77%의 인천업체 하도급 비율을 보이는가 하면 14개 하도급 업체 중 인천업체가 11개사나 참여하고 있다.
또 송도국제도시에서 공사를 진행중인 한 외지 건설사는 지역업체 참여를 활성화하기위해 협력업체 등록기준을 완화하고 61개사를 선정해 지역업체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등 오히려 적극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인천지역에 뿌리를 둔 몇 개의 대형건설사를 제외하고는 최근 인천으로 본사를 이전해온 대부분 1군건설업체의 협력업체 중 인천업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3∼4%가 고작이다.
결국 인천업체라는 이름표를 당당하게 달기 위해서는 지역의 풀뿌리 건설을 끌어안는 모습부터 보여야 한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또 지역의 전문건설업체들도 당당하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꾸준한 기술력 확보와 자기개발이 필요하다는 걸 잊어서는 안될 일이다./이원구기자(블로그)jjlw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