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의 경쟁력이 다른 항만에 비해 뒤떨어지는 것은 바로 고비용구조 때문이다. 항만업계가 인천항을 활성화하려면 '항만시설 사용료를 과감하게 인하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음에도 이같은 고비용구조는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관 주도의 경직된 항만운영관리 체계가 민간주도의 항만공사로 이관됐음에도 이러한 고질적 병폐가 개혁되지 않으니 답답한 일이다.
 최근 인천항만공사가 인천항 제1준설토 투기장 임대를 위해 최고가 경쟁입찰 방식을 도입, 종전보다 임대료 부담이 훨씬 커져 항만 경쟁력이 더욱 상실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임대부지는 20만8천여㎡ 규모로 주로 컨테이너야적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하지만 최고가 입찰방식에 의해 사용업체가 선정돼 임대료는 종전보다 1㎡당 65%나 급등, 내년부터 컨테이너 야적장 이용료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임대료가 오른만큼 이용료 부담이 커질 것은 뻔한 일이다.
 항만부지 임대료를 올려 수입증대를 꾀하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여파가 항만이용자에게 불이익을 주고 항만업계의 우려처럼 첨단 물류업체 유치는 고사하고 경쟁력까지 상실할 우려가 크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클 것은 분명하다. 항만활성화 전략부재의 단면을 드러낸 것이다. 항만운영이 과거와 달라진 것없이 행정편의대로 시행된다면 인천항은 결코 침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항만공사제 도입도 항만 관리운영에 민간기업의 경영기법을 적용, 경쟁력을 높이고 항만수요자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것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선사나 화주 등 인천항을 이용하는 업계도 항만시설 사용료나 부두임대료 수준이 지역실정에 막게 자율적으로 조정돼 인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업계가 항만시설 사용료의 요율체계를 누차 하향 조정해 줄 것을 정부에 요구해 온 것도 인천항의 고비용구조 때문이다.
 가뜩이나 인천항은 외항에서 내항에 접안하기까지 예선료, 강취료 등 추가되는 항비부담이 다른 항에 비해 가중된다. 이것이 바로 인천항을 기피하는 요인이 되고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임대수입 늘리기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전향적으로 항비인하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