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교육제도와 교육시설이 미비하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장애를 딛고 일어서려해도 상급학교 진학기회가 막혀 어엿한 직업을 갖기가 더 어렵고 결국 사회에서 소외된 채 힘들게 살아야하는 것이다. 장애인에게 사회의 벽이 높은 것은 이 때문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천지역 초·중고교가운데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이 상급학교로 갈수록 턱없이 부족하다는 보도다. 사실상 진학기회가 구조적으로 막혀있다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각급학교에 설치된 247개 특수학급가운데 74%인 184개 학급이 초등학교에 집중돼있다. 중·고교에는 각각 40개· 24개 학급에 불과하다. 학급당 수용인원도 초등은 7.1명인데 비해 중학교는 9명, 고교는 10.7명으로 교육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사정이 이러하니 장애학생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고교로 진학하기는 더 어려운 것이다. 한마디로 장애학생의 진학을 구조적으로 막는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장애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거나 원치않는 특수학교로 진학하는것도 중등학교의 특수학급증설과 필요한 교원양성을 외면하는데 있다. 장애학생들의 진학기회를 넓혀주기 위해선 중등교육과정의 특수학급을 확대하는 등 먼저 특수교육여건을 균형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특수학급이 일반학급보다 예산이 더 소요되고 학부모의 반대가 크다는 점을 들어 특수학급 신·증설을 외면해선 안된다.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 관계자에 따르면 인천은 초등학교보다 중·고교, 유치원의 특수교육여건이 더 미흡해 장애아들이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애아 교육에 대한 교육당국의 인식과 의지가 결여돼있기 때문이다. 장애아들에게 기초교육마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복지사회 구현에도 크게 배치된다. 장애인 교육시설이 모자라 초·중학교졸업생의 상당수가 원천적으로 진학을 못하고있다는 사실은 교육정책의 부실에서 비롯된다.
 장애인교육은 장애인의 자립은 물론 이들의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산업사회의 변화로 장애인들이 적응할수 있는 전문직종도 늘고있다. 장애인 교육권보장을 위해 낙후된 장애인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와 더불어 특수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개선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