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공회의소,인천지방중소기업청,국가정보원이 엊그제 첨단산업기술 보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인천지역내 경제유관기관과 단체, 그리고 정보당국이 지역중소기업 보유기술의 유출피해 방지를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지역 단위에서는 처음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기술유출 문제가 국내 경제계의 현안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물론 최근의 일은 아니다. 삼성전자 등 국내 굴지기업에 근무하던 직원들이 개발기술을 빼돌리려다 적발돼 사회적으로 충격을 준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그 파장이 컸다 해도 지역 입장에서 이는 지금까지 서울의 일일 뿐이었다. 무관심한 것도 있지만 과연 국제적으로 눈독을 들일 기술이 지역에 있겠느냐는 안일함이 더 큰 원인이었다.
 그렇지만 환경이 변해 이제는 지역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관계기관에 따르면 올들어 인천지역에서만도 모두 3건의 기술유출 사건이 적발됐다. 사전에 막지 못했다면 해당 기업들이 입을 피해는 물경 7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적발된 것이 이 정도니 총 발생 건수를 감안하면 그 피해규모는 상상을 불허케 한다. 서울지역에 국한됐던 기술유출 사건이 이처럼 지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은 국제적으로 탐을 내는 우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기업들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흔히 현대는 기술전쟁시대라 불리운다. 국제경쟁에서 기술이 날로 중시되고 있고 기술우위가 없으면 살아남기 힘든 세상이라는 것이다. 그런 탓에 국가와 기업 구분할 것 없이 앞다퉈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찮은 게 현실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기술유출 문제이다. 기술개발이 점차 어려워지자 엄청난 돈을 들여서라도 경쟁국가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빼내 가려는 움직임이 판을 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아무리 피해가 크다해도 기술유출 행위를 기업 혼자서는 막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에 인천지역 경제기관과 단체, 정보당국이 기술유출 방지에 공동 대응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이 앞으로 펼칠 활약에 큰 기대를 걸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