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으로 장애인은 해마다 늘어가고있다. 일터로 출근하다가 아니면 집으로 퇴근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혹은 산업현장에서 작업도중 산업재해를 입어 장애인이 되는 예가 대부분이다. 장애인도 이 사회의 구성원이고 산업역군이다. 이러한 장애인들이 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거나 해서 움직일 수 없다면 그 나라는 후진국이라 불러 마땅하다.
 인천시내 공공시설에 설치된 장애인 편의시설 가운데 10곳중 3개꼴이 훼손되거나 규격에 맞지 않아 보수가 필요하다는 보도다. 한마디로 상당수의 장애인을 위한 시설들이 무용지물이라는 얘기다. 보도에 따르면 시가 지난 1998년 장애인 및 노인 편의증진법이 제정된 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지역내 406개 공공청사에 설치된 2천962개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29%인 858개 시설이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는 것이다. 게다가 관련법상 반드시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돼야 하는 곳임에도 여전히 미 설치된 곳 만도 13.8%에 해당하는 40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복지 행정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번 점검결과 장애인 편의시설간 연계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시설들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휄체어를 타고 화장실을 갈 수 없는 공공청사가 403곳 중 35.5%인 143곳이라니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더하여 민원실에서 다른 부서로 접근이 불가능한 시설도 401곳중 12.5%인 50곳에 달하고 있다는 조사이고 보면 당국은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느냐고 묻지 않을 수 없다.
 심지어 혹자는 심하게 표현하여 오늘의 정상인도 앞날을 모르기 때문에 ‘예비 장애인’이라고 까지 말하고있다. 각종 사고와 질병 등으로 한해 수십만명에 달하는 장애인들이 새로 발생한다. 장애인들이 우대 받지 못하는 사회는 건전한 사회라 할 수 없다. 결코 선진국이 될 수 없다.
 법상 엄연히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토록 돼있는 곳까지도 설치를 미루 있으니 찾아서 설치 하라는 주문까지 하기는 무리인 줄 안다. 최소한 당국은 보수할 곳은 보수하고 증설할 곳은 시급히 신설하여 장애인들의 편의 시설을 완비하는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