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난의 여파로 거리를 헤매는 노숙자나 부랑인, 정신병자 등 사회 부적응자의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운영 중인 시설이 크게 부족하고 프로그램도 미흡하다는 보도다. 특히 인천은 경제난이 심해 사회 부적응자 수도 많다. 그렇지만 이들을 수용해 기술을 가르칠 사회복귀시설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이래 가지고서는 부랑인이나 노숙자를 줄일 수 없다. 이들에게 다시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기 위해서는 복귀시설을 늘려야 마땅하다.
 인천지역의 복지시설이 열악하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노인시설을 비롯해 아동시설, 장애인 시설, 위탁시설까지 그 수나 환경은 빈약하기 짝이 없다. 이런 가운데 노숙자 등 사회 부적응자들에게 새로운 인생의 길을 열어 주기 위해 운영중인 사회복귀시설 실태마저 전국 최하위라는 사실은 실망감을 지울 수 없게 한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사회복귀시설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134개 시설 중 인천에 있는 것은 고작 3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과 시세가 비슷한 대구(11개)는 물론이고 6대 도시와 비교해도 최하위권이다. 환경도 열악해 이용자수는 대구 419명의 20% 남짓한 86명에 그치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인천시는 해마다 복지사업에 시정의 우선을 두고 힘을 쏟겠다고 말해 왔다. 하지만 복지정책은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 인천시는 예산 타령만 하고 복지시설 개선은 뒷전으로 미뤄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인천지역을 두고 늙거나 없는 사람은 살기 힘든 곳이라는 달갑지 않은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나무랄 수 없다.
 부랑자나 노숙자 실태는 국가나 한 도시의 복지정책 수준을 판별해 볼 수 있는 주요 잣대이다. 이럴진데 인천의 사회복귀시설 실태가 이 정도라면 21세기 동북아 중심 복지도시 실현이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닐지 걱정치 않을 수 없다. 인천시는 사회 부적응자들의 사회 복귀를 위한 시설 확충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 부적응자들이 취미를 갖고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이들이 가정으로 돌아갈 때 사회가 안정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