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에 조류독감 비상이 걸렸다. 선진국들은 조류독감 감염에 대비, 자국민 치료에 필요한 조류독감 백신 '타미풀루'를 경쟁적으로 확보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우리나라도 조류독감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이에 대비,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정부가 안이하게 대처하다간 큰 재앙에 직면할 수 있다.
 조류독감은 닭과 오리 등 가금류나 야생조류의 분비물을 통해 전파된다. 감염원인 철새가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퍼뜨리기 때문에 방역도 쉽지 않다. 이달말부터 12월까지 강화,영종,시화호 등 서해안 일대 철새도래지에 겨울철새들이 집중적으로 날아와 닭,오리 사육농가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청둥오리 등 겨울철새 수만 마리가 이미 국내 주요 도래지에서 관찰됐다. 철새로부터 조류독감을 완벽하게 차단한다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조류독감 퇴치에 최선을 다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에 조류독감이 크게 확산될 경우 1,500만명이 감염돼 최대 44만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내놓아 충격을 주고 있다. 조류독감에 대비하지 못할 경우 우리나라도 예외없이 재앙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인 셈이다. 생각만해도 끔찍하다. 독감은 고열과 폐렴증세까지 동반해 심하면 목숨을 잃는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치료제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질병관리본부가 확보한 백신은 인구 대비 1.4%인 70만 명분에 불과하다. 유사시 턱없이 부족한 양이다. 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 예방약을 확보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난 2003년 충북 음성에서 조류독감이 발병해 전국 10개 시군으로 확산돼 축산농가와 닭가공업체들이 무려 1조원대의 피해를 입었고 도산위기에 몰렸던 것을 우리는 경험한 바 있다. 사육농가는 물론 철새도래지 등에 대한 점검 등 철저한 관리가 시급하다. 세관 등 검역당국도 조류독감의 국내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입국자의 휴대품 검색 등을 보다 철저히 해야 할것이다.
 정부나 지자체는 조류독감 집중관리 지역에 대한 예찰활동과 방역을 강화하고 국민들도 외출후 귀가해선 손발을 자주 씻고 위생관리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