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시화·반월 공단 등 주요 산업단지의 임차업체 비중이 급증,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보도다. 산업단지에 임차업체가 급증하고 있는 사실은 그만큼 공장 실수요자가 아닌 임대사업자가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뜩이나 중소기업들이 공장용지 확보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데 산업단지내에 부동산 임대업이 성행, 영세업체들이 공장용지를 구하기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남동공단내 임차업체는 2천75개로 입주업체의 50.4%를 차지하고 있다. 시화공단은 임차비율이 40.9%, 반월공단은 42.3%에 이르고 있다. 산업단지내 상당수의 공장을 임대업자들이 소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산업단지내 임대업이 성행하다보니 공장 매매가나 임대료가 크게 올라 정작 입주를 원하는 업체들이 입주를 포기하고 해외나 지방으로 떠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설비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중소제조업체의 해외이전이 급증, 산업공동화가 심화되고 있다. 제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산업의 기반이 되는 중소제조업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면 생산과 고용을 위축시켜 실업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지역경제도 활력을 잃게 될 것은 분명하다. 제조업 공동화는 노사 불안과 임금 상승 등 비용부담 가중이 주 원인이나 공장부지 확보가 어렵고 지가가 비싼 것도 원인이 되고 있다.
 제조업을 포기하고 임대업으로 업종을 전환하거나 해외로 이전하는 업체가 급증, 산업단지가 임차공장 지대로 변하고 있는 것은 걱정스런 일이다. 이래선 경제의 기반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제조업체의 임대사업 전환이 늘어나 산업단지에 영세업체들이 몰려 기업의 경쟁력이 더욱 떨어지고 있다. 산업단지가 부동산 투기대상이 되어선 결코 안된다. 부동산 투기업자의 개입으로 산업용지나 공장 매매가와 임대료가 크게 오르면 임차업체의 부담이 커지고 기업경쟁력이 약화될 것은 뻔한 일이다.
 정부는 산업단지내 부동산 투기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중소제조업체의 산업단지 입주가 용이하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