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 경기지역 산업현장의 안전규정 위반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더욱 심각한 문제는 행정당국의 대응 노력 또한 크게 미흡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산업현장의 안전 미흡은 근로자 재해의 주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우려치 않을 수 없다.
 노동부에 따르면 경인지방노동청이 올 상반기중 인천과 경기지역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점검 결과, 조사대상 사업장 280곳 가운데 274곳이 안전규정 위반으로 적발됐다. 위반율이 무려 97.8%에 이르는 것으로 전국 6개 지방청중 1위다. 적발건수도 많아 280 곳에서 무려 876건의 위반사항이 지적됐다. 사업장 1곳당 3건 이상씩 안전관련 법규를 위반한 셈이다.
 인천과 경기지역내 사업장이 심각한 안전 사각지대임이 드러난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행정당국이 이와 관련해 취한 행정조치를 보면 더더욱 머리를 갸웃하지 않을 수 없다. 실제 경인청이 내린 행정조치별 전체 적발건수 대비 비율은 사법조치(5.7%), 작업중지(0.4%), 사용중지(2.6%)보다 과태료 부과(13.4%)가 주를 이룬다. 한마디로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온 셈이다. 이러니 행정당국이 산업현장의 안전불감증 유발의 주 요인이 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지사이다.
 산업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이려면 기술력 제고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근로자 안전문제이다. 언제 안전사고가 날지 모르는 불안한 환경에서 생산활동이 제대로 될리 만무하다. 선진 기업일수록 근로자 안전을 중시하는 것도 다 이런 연유에서다. 더욱이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환경과 재해문제 등을 포함한 기업의 윤리경영이 경쟁력 평가의 잣대가 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물론 사업현장의 안전문제는 최우선적으로 기업에 그 책임이 있다. 이런 점에서 무엇보다 우선 기업 스스로 임직원들의 안전의식 제고와 아울러 안전시설 설치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기업인들의 안전의식이 아직 미흡하다는 점을 중시한다면 행정당국의 개선노력 또한 기업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 행정당국이 앞으로 홍보 및 계도활동을 강화하고 엄중한 지도점검과 처벌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