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여년간 지루하게 끌어 온 굴포천 방수로 건설사업이 정부부처간, 그리고 주민과 환경단체간 갈등으로 계속 지연되고 있는 것은 안타깝다. 굴포천 방수로 건설은 그야말로 주민숙원인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한 치수사업이다. 그럼에도 정부부처와 환경단체가 본래 취지를 벗어나 경인운하 건설과 연계시켜 한 시가 급한 치수사업에 제동을 걸고 있는 것은 비난받을 일이다.
 인천 부평·서구·계양구와 김포·부천·서울 강서구 일대는 집중 폭우가 내릴 때마다 굴포천 범람으로 주택과 농경지 등이 침수돼 막심한 피해를 입어 왔다. 지난 1987년엔 대홍수가 나는 바람에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입은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1992년 굴포천 종합치수사업으로 인천 서구 시천동~계양구 귤현동 사이 14.2km 구간에 폭 40m의 방수로 건설계획을 세워 지난 2002년 6월 폭 20m의 임시방수로를 만들었다.
 이처럼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한 굴포천 방수로 공사는 환경단체가 이 사업이 정부가 재검토중인 경인운하 사업의 사전단계라며 의혹을 제기하고 적극 반대하고 있고 환경부도 이에 동조함으로써 중단되고 있다. 환경부는 건교부의 환경영향평가 변경신청에 동의해 줄 경우 경인운하 경제성 검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는 듯하다. 아무리 환경단체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라해도 이래서는 안된다.
 정부는 지난해 홍수 피해예방을 위해 방수로 확장사업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며 '경인운하 재검토, 방수로 공사 우선추진'이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건교부의 사업시행에 사실상 제동을 걸고 있는 환경부의 자세는 이해키 힘들다.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한 치수사업에 적극적이어야 할 환경부가 환경단체의 반대에 편승해 건교부의 협의신청을 거부한데서야 될 일인지 묻고 싶다.
 건교부는 굴포천 방수로 확장은 경인운하와 별개의 사안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사업시행자인 수자원공사도 굴포천 주변의 도시화 등 여건 변화로 방수로 폭 확장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환경부나 환경단체는 주민요구를 더 이상 외면해선 안된다. 재난을 막기 위해서도 굴포천 방수로 확장공사는 지체없이 추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