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신도시와 영종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제2연륙교의 주경간폭(교각폭)을 둘러싼 안전성과 효율성 논란이 무더운 여름 폭염만큼이나 뜨겁다.
인천지역 경제단체, 시민단체, 항만단체 관계자로 구성된 ‘제2연륙교 관련 범시민 대책위’는 일본해양과학(JMS)의 연구용역 결과를 근거로 교각폭 700m는 그 사이로 대형선박이 드나들기에는 너무 좁아 충돌 위험성이 있음을 제기했다. 더우기 거센 물살과 짙은 안개 등 인천항의 특성과 날로 대형화 하는 선박의 크기 등을 고려할 때 교각폭을 1000m까지 확대해야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충돌 위험성 외에도 선박들이 좁은 다리 사이를 운항함으로써 불가피하게 파생될 체선 체화등 각종 문제들로 막대한 비용증가를 초래해 결국 큰 배들이 찾지않는 죽은 항구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교각폭 700m의 문제점은 이미 지난 2001년 시행사인 아멕(AMEC)사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 안전연구소에 의뢰한 ‘제2연륙교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 최종 보고서에서도 지적됐으나 묵살된 채 정책에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난달 열린 관련 부처 실무협의때 작성된 회의록도 왜곡 기술된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교각폭 700m를 전제로 한 JMS의 연구 자체에 문제가 있었음도 지적되고 있다. 범시민 대책위의 주장에 설득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 주장대로 상하이, 푸둥, 톈진, 다롄 등 황해를 마주한 물류경쟁 도시들의 발빠른 행보를 의식해서라도 제2연륙교 교각폭 문제는 하루 빨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검증을 거쳐 명쾌하게 결론을 내야 한다. 다음주 강동석 건교부 장관의 인천 방문이 예정돼 있다. 이날 정부,인천시,항만업계를 비롯한 범시민 대책위 관계자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여서 열린 자세로 토론을 벌여 교각폭 문제를 매듭짓는 단초를 마련했으면 한다.
황해시대 인천이 물류중심기지로서 한국을 동북아 경제의 핵으로 끌어올리는 동력으로 작용하려면 송도신도시 등 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와 함께 인천항, 인천공항의 원활한 물류 인프라가 반드시 시너지 효과로 연결돼야 한다. 잘못 설계한 교각폭이 인천항의 원활한 흐름을 막아서는 안 된다.
백년대계인 제2연륙교 건설은 인천의 미래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