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너무 오른다. 가뜩이나 불황으로 수입이 줄어 가계지출을 억제하고있는 서민들로서는 이중고의 시련을 겪고있는 셈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는 지난 6월보다 0.6%나 올랐고 작년 7월에 비하면 4.4%나 올랐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품목의 생활물가지수는 2년11개월만에 최고치인 5.8%나 뛰어올라 살기 힘겨운 서민들의 살림살이를 더 고달프게 하고있다.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치솟은 것은 장마와 폭염으로 인한 농축수산물값이 크게 오른데다 버스·전철 등 공공서비스요금 인상이 주요 요인이 되고있다. 공공요금 인상시기를 하반기로 미뤄온 것은 사실이나 전철료 19.6%,시외버스료 12.0%, 고속버스료 8.8% 등 한꺼번에 큰폭으로 인상, 서민가계에 주름살을 주고있는 게 사실이다. 소비자물가 상승을 농축산물의 일시적,계절적 요인으로만 볼수없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그동안 미뤄왔던 상하수도·택시요금 등 공공요금도 하반기에 오를 예정이어서 물가불안을 더욱 부채질하고있다. 공공요금은 저마다 인상이 불가피한 사정이 있겠지만 지금처럼 경제가 어려운 때에 요금인상요인을 자체 흡수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공공요금인상은 생활물가를 부추기고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제유가의 강세가 지속되면 하반기에는 소비자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여 걱정된다. 지난 6월 이후 급등하고있는 국제원유가 상승이 아직은 국내 공산품가격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소비가 극도로 위축된 상황에서 물가가 치솟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리 경제에 현실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소리도 높다. 우리 경제가 이처럼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란 최악의 상황에 빠지고 있는 것은 수출에만 의존하고 있는 경기가 이제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적지않다.
 서민들은 물가만이라도 안정되기를 절실히 바라고 있다. 올해 정부가 정한 물가억제선인 3.5%상승률도 지켜질지 의문이다. 물가당국이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지않나 따져 볼 일이다. 정부는 민생경제가운데서도 우선 물가안정 대책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