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경기도내 축산농가들이 소값 폭락과 가축사료값 급등으로 고사 위기에 몰려 있다는 보도이다. 특히 사료값 파동은 지난해 조류 독감과 광우병 쇼크에 이어 연이어 발생한 것으로 이로 인해 많은 축산농가들이 가축 사육을 포기해야 할 처지라니 걱정이다. 사료값 급등으로 수지악화가 지속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를 살리기 위해서는 소고기 소비촉진을 유도하고 축산농가의 부담을 줄여 주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경기도내 축산농가에 따르면 사료업계는 이달부터 옥수수 등 가축사료값을 업체별로 평균 5∼7% 인상했다. 농협도 공동 구매에 참여하고 있는 8개 사료업체가 원료가와 해상운임 인상을 이유로 사료값 인상을 요구해 지난 4월부터 평균 5.4% 인상한 바 있다. 이로써 올해 가축사료값은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모두 세 차례에 걸쳐 25%나 오른 것이다. 이에 반해 산지 소값은 암소(500㎏)의 경우 지난해 507만원대에서 현재 389만9천원으로 23.2%나 급락, 도내 한육우 사육농가 경영난의 주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축산농가들은 지난해에도 조류 독감과 광우병 발병까지 겹쳐 시련이 적잖았다. 심지어 광우병으로 인해 많은 소를 암매장해야 했고 우유 소비까지 크게 줄면서 어려움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나마 올들어 지난해의 먹을 거리 쇼크가 어느 정도 진정되면서 축산농가들은 재기의 꿈을 키워왔으나 내수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사료값 폭등이라는 복병을 만나 또다시 비틀거리고 있는 셈인 것이다. 심각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아울러 낙농가들도 우유업체에 공급하는 원유 가격이 7년째 제자리 걸음으로 생산가격에도 훨씬 못미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어서 도내 축산농가 전체가 큰 위기에 처해 있는 것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한다.
 따라서 경기도는 서둘러 도산 위기를 맞고 있는 도내 축산농가를 살리기 위한 종합적인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말로만 축산농가를 보호하겠다는 것은 도움이 안된다. 사료업계도 원가절감을 통해 사료값 인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정부, 사료업계 구분없이 축산농가 경영난 해결에 힘써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