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남북 정상이 만나 6.15 공동선언에 합의한 지 네 돌이 되는 날이다. 이를 기념해 어제 개막된 남북 민족대회는 지난 행사들과 견주어 매우 활기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여 인원이 수천 명에 이르고 국제토론회, 마라톤, 문화행사 등 프로그램도 다채롭다.
 행사의 주 무대가 인천이라는 것은 더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경제 분야가 주도해 왔던 남북간 교류는 급기야 군사 분야로까지 확대돼 해상에서의 무력충돌 방지를 위한 결실을 일궈 냈고 이를 위해 남북 함정간 지정주파수 운영 등 군사합의 본격 이행을 위한 시험 가동이 실시된 곳이 바로 인천 앞바다라는 것은 그 의미를 배가케 해 주고 있다.
 남북민족대회의 인천 개최는 우선 제주에서 시작된 민족 화해의 바람이 남한의 심장부라 할 수도권에 상륙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또한 ‘갇힌 행사’였던 지난 2002년 서울 워커힐 8.15 행사 때와는 달리 이번 행사는 열린 행사를 표방하고 있다. 인천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 등 지역사회 지도층 인사 다수가 대회조직위원회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것도 남북교류 확대와 통일에 대한 지역사회의 염원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천은 역사적으로 한반도 변화와 개방의 주역이었다. 삼국시대 뿐 아니라 구한말에는 외국 근대문화 유입과 대외개방의 창구였고 최근 들어서는 공항 개항과 더불어 첨단시대인 21세기 대외교류의 거점으로 불린다. 이번 행사개최와 관련, 인천이 통일시대 개막의 시발지로 지칭되는 것도 이런 점에서 결코 근거 없는 말은 아니다. 인천이 최초의 민족공동도시가 될 가능성이 큰 개성공단과 연계된 물류기지가 될 것이 분명하기에 더 그렇다.
 이번 행사는 이 같은 의미에도 불구하고 행사 준비와 정부 대처 면에서는 적잖은 아쉬움을 갖게 한다. 그 중에서도 열린 행사라는 슬로건과는 달리 정부의 제약과 통제는 시민 참여를 위축케 한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통일문제를 이념적 대립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우리 사회의 아픈 실정이 반영된 것이라 해도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필히 개선해야 할 과제임이 틀림없다. 어쨌든 이번 행사가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시대 개막의 출발점이 되기를 간절히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