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용불량자가 계속 늘어 이제는 400만 명을 넘어섰다는 보도다. 설령 정부가 내달부터 신용불량자 구제에 본격 나선다고 해도 좀체 걱정을 놓을 수 없다. 신용불량자 문제는 자칫 잘못하다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그 처리에 결코 안일해선 안된다.
 본란은 신불자 문제처리의 시급성을 수차 촉구해 왔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되는 모습이다. 은행연합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4월말 현재 국내 신불자수는 397만3천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이 둔화됐다 해도 최근의 증가추세를 감안한다면 국내 신불자수가 이미 400만명을 넘어섰다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더군다나 신불자 증가도 문제려니와 이보다 더 우려케 하는 것은 신불자 대부분이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라는 점에서 신용불량 문제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인구가 어림잡아 1천만명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인구 4명중 1명이 경제적 및 정신적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으로 이런 사정을 감안한다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지 않음이 더 이상하다 해야 할 것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정부가 내달부터 배드뱅크 프로그램을 시행키로 하고 그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조금은 위안케 한다. 지금의 신용불량자 문제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원인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에서 정부의 직접적인 대응없이는 해결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강구할 이번 구제책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비록 워크 아웃제도 등 이전의 대책보다는 구체성을 띠고 있어 한껏 기대를 갖게 하지만 그래도 마음을 놓을 수 없다. 정부 대책이 아무리 획기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해도 과거처럼 일선 금융기관들이 실행에 옳기지 않는다면 구두선에 그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신용불량자가 400만명을 넘는다는 것은 가히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정부는 내달부터 시행할 구제대책과 관련해 더더욱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신불자 문제해결은 일자리와 무관치 않다는 점에서 그 대안으로 일자리 창출사업과 연계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 봄 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