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6만명을 넘어 섰다. 전체 인구의 6.2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00년대 들어 전체 인구의 7%를 넘어서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인천의 노인인구는 아직 이에 못 미치지만 급속히 고령화사회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지난 80년대까지 3% 수준이던 것이 1997년 6.3%로 급증했고 2000년에는 7.2%를 기록, 유엔이 분류한 고령화사회로 들어 섰다. 오는 2019년이면 그 비율이 14.4%에 달해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2026년에는 20% 대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비한 사회안전망이 구축돼 있지 않은 게 문제다.
 장수(長壽)는 인간의 소망이다. 따라서 노인들이 최소한의 생계유지와 질병에 대한 치료 및 간호 등을 경제적 부담없이 해결할 수 있도록 대비에 철저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선진국일 수록 노인문제를 가장 중요한 정책현안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보장측면에서 고령화사회에 대한 준비가 경제성장에 비해 매우 낮은 게 사실이다.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기금의 효율적 운용은 물론 안정적인 사회보장제 구축을 정책의 중요 과제로 삼지 않으면 안된다.
 고령화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뭐니뭐니해도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이다. 사회보장제도가 미흡하다보니 우리 사회에는 생계를 꾸려가기도 힘든 노인이 많다. 어느 정도 소득이 보장되는 생계형 일자리를 마련해 줘야 한다. 수입을 얻는다는 측면 외에도 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정부는 오는 2007년까지 노인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할 예정이라지만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환경감시원이나 거리질서 지키기 등 공익과 관련된 일자리를 더 만들어 노인들이 활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령화사회 대책은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노인문제는 지역사회 전체가 떠 안아야 할 몫이다. 고령화사회 문제해결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노인복지예산을 더 늘리고 노인 일자리 창출에 보다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