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수산업계가 극심한 어획부진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그나마 주 수입원이었던 꽃게잡이마저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았지만 어획량이 급감해 심각한 파장이 일고 있다. 어획부진이 새삼스런 얘기는 아니라 해도 올해는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어서 이러다가 연근해 어업이 아예 붕괴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인천·옹진수협에 따르면 올들어 4월까지 꽃게 위판량이 각각 147t, 60t으로 작년 상반기 실적의 10분의 1에 불과해 어민들의 생계에 막심한 타격을 주고 있다. 꽃게철에 이렇듯 어획이 부진하자 꽃게값은 금값이 돼 버렸고 소비자들도 구매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연근해 어업 상황이 이렇듯 악화된 데는 사전대비에 소홀한 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어자원 고갈은 바다오염과 무분별한 모래채취 등에 따른 생태계 변화에도 그 원인이 있지만 중국어선들의 불법조업으로 인한 피해가 더 크기 때문이다. 중국어선들은 수백척씩 떼를 지어 우리의 연근해 어장에 들어와 치어까지 마구 남획, 어장을 황폐화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금어기에도 백령, 연평도 해역에까지 들어와 아예 어종의 씨를 말리고 있다.
 정부가 어민과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 중국 어선들의 불법조업에 단호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벌금을 받고 풀어 주는 등 미온적인 대처로는 이들의 불법조업 행위를 발본색원할 수 없다. 그러잖아도 한중 어업협정으로 동중국해 어장을 상실해 소득이 크게 줄어든 우리 어민들에게 2중의 피해를 보게 해선 안될 일이다.
 인천의 연근해 어업이 지금 위기에 직면해 있음은 분명하다. 최근 수년 동안 조기,갈치 등 주 어종의 어획이 격감한 가운데 그나마 생계 유지의 유일한 수단이 돼 왔던 꽃게잡이가 극심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어 버틸 여력마저 상실하지 않나 우려된다. 그렇다고 해서 이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황폐화된 연안 어장을 되살리기 위해 남획을 금지하는 등 어업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노후어선을 감축하는 등 연근해 어업 구조조정을 보다 확대하고 어족자원 보호를 위한 인공어초시설 등 양식업도 선진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