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지구 개발사업 설명회에서 악취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은 냉정하게 되새겨볼 만한 대목이다. 특히 악취 문제를 지적한 것이 주민들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라지구 인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악취의 직접 경험자들로 획기적인 해결책이 없으면 외국 투자자들을 유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정부, 인천시, 한국토지공사 등 개발 주체들은 마땅히 주민들의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청라지구 주변이 환경위해시설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도권매립지, 쓰레기소각장, 인천화력발전소, 서부산업단지 등이 바로 인접해 있는 데다 각종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중소기업들이 인근에 밀집해 있다. 산업폐수 처리업체만 해도 전국 업체 수의 절반인 19개 업체가 몰려 있다.
 이러니 각종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돼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환경오염 가운데서도 가장 심각한 것이 악취공해로 고질 민원이 된지 이미 오래다. 지난해의 경우 인천지역에서 발생한 악취 민원 301건 가운데 143건이 이 지역에서 유발됐을 정도다.
 청라지구는 인천지역 3개 경제자유구역중 한 곳으로 앞으로 동북아를 대표하는 국제도시로 개발된다. 명실상부한 국제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갖추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청라지구는 모두 541만평 규모로 이중 주택용지가 78만평, 게획인구가 9만여명에 이른다.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미래의 청라지구 주민들 역시 악취공해를 피할 수 없을 것임은 자명하다.
 물론 청라지구의 악취공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전부터 문제가 대두됐고, 환경단체들은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정부, 인천시와 토지공사는 아직 총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나와 있는 방안이라야 경제자유구역 시설물들을 오염원에서 멀리 배치하겠다는 것 쯤이다. 정부도 이 정도로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리라고 본다.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