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에서의 모래채취가 55일만에 재개됐다. 수도권 건설현장에서 골재파동이 일자 정부가 우선 급한 불부터 끄고 보자며 모래채취를 다시 허가한 것이다. 그러나 지역환경단체와 섬 지역 주민들은 종합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모래채취를 허가한 것은 잘못됐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사태해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옹진군은 오는 6월30일까지 기한을 정해 모래 채취허가량을 당초 계획했던 370㎥의 절반이 약간 넘는 200㎥를 허가하고 그제부터 채취를 재개토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레미콘업체들이 당장은 가동을 중단하는 위기는 넘겼다. 지난 50여일간 모래채취 금지로 수도권 레미콘공장 가운데 절반 이상의 공장가동률이 50% 이하로 떨어졌고 ㎥당 6천500원이던 바닷모래 가격도 9천500원으로 치솟았으며 모래를 확보하지 못한 레미콘업계가 담합해 공장가동을 중단할 것이란 소문이 나돌자 정부가 허겁지겁 모래채취를 재개토록 한 것이다.
 수도권 모래파동은 이미 수년 전부터 예견됐음에도 건설교통부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외면해 왔다. 수도권 건설현장의 모래수급에 70% 이상을 차지하는 인천 앞바다의 모래채취가 금지될 경우 골재파동은 불가피해 진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근본처방을 마련하지 않은 채 사후약방문 식으로 대처하는 등 정부 부처가 그동안 보인 행태는 한마디로 무책임하기 그지 없다.
 지난 20여 년간 인천 앞바다에서는 2억㎥가 넘는 모래가 채취돼 해양생태계는 심각하게 파괴됐으며 대부분의 해수욕장이 모래 유실로 자갈밭이 드러나는 등 황폐화된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모래의 안정적 공급에만 급급했을 뿐 생태계 보전을 외면함으로써 회복하기가 불가능할 정도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무분별한 모래채취를 막기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도 유명무실해 졌다. 재생골재의 사용이나 대체광구 확보도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 또한 북한,중국 등지로부터의 모래수입도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근본대책없이 옹진군에 모래채취 재개를 촉구한 것은 크게 잘못된 일이다. 수도권의 안정적 골재수급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서도 일정기간 골재채취를 금지하는 휴식년제를 도입하는 등 보다 구체적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