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기업들이 앞다퉈 중국 등지로 진출하는 등 인천을 떠나고 있는 현실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이로인해 지역경제의 공동화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체산업이 육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조업 공동화현상이 급 진전될 경우 지역경제는 위기상황으로 몰릴 수 있다. 인천시가 뒤늦게나마 위기상황을 직시해 제조업 공동화현상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인천지역 산업구조가 약화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지역 산업구조가 제조업 중심으로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장기 불황에다 원자재 대란까지 겹친 상황에서는 제조업체들이 기업하기 좋은 곳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당연하다. 시는 지역내 제조업계의 탈 인천, 중국 진출이 향후 인천의 성장 잠재력 악화를 초래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따라 시는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간 균형발전 지원, 메카트로닉스 등 첨단 지식산업 육성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지역내 제조업 공동화는 지역경제의 위축을 의미한다. 지난해 상반기중 인천 제조업체의 중국 투자는 73건, 4천758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2년의 투자액 4천126만달러를 훌쩍 뛰어 넘는 것이고, 2001년의 2천871만달러에 비해서는 160%나 급증한 것이다. 제조업 공동화가 얼마나 빨리 진행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위기상황이라는 말이 결코 과장으로 들리지가 않는다. 문제는 제조업체들의 중국 러시를 막을 수 있는 뾰죽한 방안이 없다는 데 있다. 그래서 시가 마련한 대책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어쨋든 지역내 제조업 공동화를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 제조업체들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급선무다. 경쟁력있는 제조업체를 붙들어 두려면 기업활동에 대한 규제를 최소화하고 금융지원등 지원책은 강화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IT 등 대체산업의 공장입지를 막고 있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의 각종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인천경제가 위기상황 임을 지역사회가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