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북부 접경지역 주민들의 소득 수준이 크게 낮을 뿐 아니라 생활환경에 대한 불만족도가 여전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그동안 정부와 경기도가 추진해 온 접경지역 개발전략이 별로 효과를 보지 못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접경지역 개발전략의 허실을 냉정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다.
 서울대 박삼옥교수팀이 지난달 학술진흥재단에 제출한 ‘사회,경제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접경 시·군지역 주민들의 소득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연천군, 파주시, 김포시 등 3개 시·군 가구의 16.7%가 연 소득이 1천만원 미만이며, 연 소득이 3천만원 이상인 가구는 1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천군의 경우는 연 소득 1천만원 미만인 가구가 45.8%로 절반에 가까웠다. 경기 북부 접경지역은 산업 및 기반시설이 취약한 만큼 주민들의 소득이 낮을 것이라는 예상은 했다. 하지만 실제 밝혀진 소득수준은 예상했던 것 이하다.
 또 접경지역의 주거환경은 여전히 취약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개 시·군 주민들의 63.2%가 인근 시·군과 비교할 때 주거환경이 떨어진다고 불만족을 표시했고, 불만족 요인으로는 주민들 80% 이상이 사회기반시설 미비와 군 관련 규제를 꼽았다. 접경지역 주민들은 아직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하고 군 관련 규제도 많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경기도는 그동안 접경지역 개발시책들을 적잖이 내놓았다. 경기도의 중점 시책으로 거의 매년 접경지역 개발이 채택됐을 정도다. 그러나 정작 개발시책들의 효과는 크지 않았음을 이번 연구 결과는 말해주고 있다. 물론 접경지역 개발이 단시간 내에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렇다 해도 주민들이 달라진 것을 거의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각종 개발시책의 효과가 그만큼 기대에 못미쳤음을 반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경기 북부 접경지역이 갖는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통일시대에 남과 북을 이어주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정부와 경기도가 추진해 온 접경지역 개발시책의 효과가 미흡했다면 무엇이 문제였나를 분명히 되짚어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