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17대 총선에 지역구 공천자의 30%를 여성에게 할당키로 했으나 현재까지 각 당의 여성 단수후보 지역구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당이 경쟁적으로 내놓은 지역구 공천 여성 할당제가 헛 구호가 아니냐는 지적이 이는 것은 당연하다. 지역구 여성 단수 공천자가 한명도 없다는 것은 여성들의 정치 참여도가 낮고 여성 정치희망자 대부분이 비례대표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각당의 여성 공천신청자가 극소수에 그치고 있는 이유는 그동안의 정치풍토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금력과 조직력이 부족한 여성 후보들이 발을 붙이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각 당이 신망있는 여성을 영입하기 위한 접촉작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나 대부분 여성 후보들이 비례대표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도 한가지 요인이다. 실제로 각 당 경기도 지부에 따르면 17대 총선 여성 공천신청 지역구는 한나라당 4명, 민주당 1명, 열린우리당 3명으로 나타났으며 공천 심사를 마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경우 여성 단수후보 지역구는 아직 한 곳도 없는 형편이다.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의 사회참여 폭도 커지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더구나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져 정치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때문에 정치권이 17대 총선에서 지역구 공천자의 30%를 여성에게 할당키로 한 것은 바람직한 결정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성과가 기대 이하다. 지금 같아서는 각 당이 과연 지역구 공천 여성 할당제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 의심스럽기만 하다.
 오는 4.15총선에서 여성들이 얼마나 출마해 당선되는가는 여성계의 관심사일 뿐 아니라 온 국민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많은 여성 정치인들이 출마해 원내에 진출하는 것은 시대의 요청이다. 물론 여성들의 정치 참여가 아직은 녹녹치 않은 것이 우리의 정치 현실이기는 하다. 그런 만큼 정치권과 우리사회가 민주주의 발전과 여성지위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여성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 각 당이 여성 공천 할당제의 취지를 살려 여성 단수후보 공천을 적극 실시하기를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