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사회에는 150만명에 이르는 장애인들이 사회적 편견 때문에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 장애인 고용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고 편의시설이나 교육시설도 충분치 못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시책을 펴고는 있지만 아직도 장애인들에 대한 복지시책은 전시행정이나 구호에 그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애인들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는 뭐니뭐니해도 생계보장과 의료혜택이다.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해 취업이 힘들고 경제사정이 여의치 않다 보니 치료를 받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들이 생계문제를 가장 큰 고민으로 꼽고 있다는 사실만 보아도 이들의 경제사정이 얼마나 궁핍한 지를 짐작할 수 있다. 의료혜택, 복지시설과 특수학교 확충 그리고 편의시설의 확대 역시 장애인들이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미흡하다.
 정부는 장애인의 취업기회를 넓히기 위해 지난 91년 1월 장애인고용촉진법을 제정, 공공기관과 3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해 전체 근로자중 2%를 장애인으로 채용토록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외면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들의 고용비율이 1%에도 못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생산성 저하, 불안한 작업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아직도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그릇된 편견이 뿌리 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해 받는 신체적 고통보다 사회적 편견 때문에 소외당하는 정신적 고통이 더 견디기 어렵다고 말한다. 지금 우리 사회는 빈번한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장애인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런 점을 생각하면 장애인의 고통을 남의 일처럼 보는 편견은 이제 버려야 한다. 하루속히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는 법과 제도를 마련, 이같은 편견을 치유해야만 장애인들이 사회에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복지를 위한 예산도 너무 인색하다. 공공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도 충분한 예산을 확보, 좀더 빠르게 추진되어야 한다. 나 자신도 장애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복지가 실질적으로 향샹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