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상당수 건축주들이 건설경기 침체 영향으로 건축허가를 받고도 공사를 중도에 중단했거나 아예 착공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지역경제 차원에서 우려치 않을 수 없다. 더군다나 미착공 건축물을 계속 방치한다면 흉물로 남아 도시미관에도 이로울 게 없다는 점에서 차제에 건축허가를 취소하거나 자금을 지원, 공사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서둘러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주가 허가를 받고도 착공조차 못하거나 공사를 중단하고 있다는 것은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건설교통부가 국회건설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 9월말 현재 경기도내에서 건축허가를 받고도 1년 이상 건축이 중단된 곳은 모두 9백35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8백80개소는 미착공, 나머지 55개소는 공사가 중단된 상태이다. 그런데 문제는 건축주들의 대부분이 자금 부족(8백26건), 시공사 부도(16건) 등의 이유로 공사를 계속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지난 IMF 외환위기 당시의 연쇄부도 상황에서 어렵게 살아 남은 건설업체들도 현재 물량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그래서 건설업체들은 대단위 건축공사에서부터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가리지 않고 손을 대고 있으나 자금부족으로 인해 건축허가를 받고도 착공조차 못하거나 공사를 중도에 중단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큰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건축업체 부도는 그 피해가 단지 부도업체와 협력업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경제 전반으로 미치는 파장이 엄청나다. 뿐더러 공사가 중단되거나 착공치 않아 공터로 남게 되면 쓰레기 투기 등으로 도시미관까지 해치게 된다는 데서 사회문제가 되기 일 쑤이다.
 수도권 건설업체들은 지은 아파트와 상가 등이 미분양되면서 자금 압박이 가중, 경영상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 장기 침체에 빠져 있는 지역경제를 위해서는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없다. 경기도는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고 도시정비를 고려해 공사를 못하고 있는 건축주에 대한 자금지원 등 미착공 건축물에 대한 종합적인 처리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