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기준치 느슨...품질검사도 업자끼리
 중국산 소금의 국내산 둔갑으로 천일염 업계가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소금에 대한 소비자의 믿음은 이미 내동댕이 처졌다. 소비자의 눈을 가리는 업자들의 속임수에 소비자들은 선택권마저 빼앗겼다.
 유통질서를 잡을 제도적 장치나 염업조합의 관리는 헛점투성이다. 지정폐기물보다 중금속 함유량이 많은 소금을 넣어 만든 음식이 식탁에 올라오더라도 별도리가 없는 형국이다.
 본보는 2차례에 걸쳐 천일염을 축으로한 소금시장의 구조적 문제점를 파헤치고, 그 대안을 찾아본다.
 왜 이 지경까지 왔나(상)
 국산소금 브랜드화 하자(하)
 제도적 틀 속에서 천일염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천일염은 식품위생법의 관리대상인 식용염이 아니다. 꽃소금 등 제조염이나 죽염 등 가공된 소금 등을 식용염으로 분류할 뿐이다.
 된장과 간장 등 장류와 젓갈류 등에 천일염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비춰볼 때 관리체계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천일염은 관리하는 것은 염관리법이다. 여기서 규정하는 천일염은 바닷물을 농축시켜 50%이상 염화나트륨성분을 함유한 결정체면 된다.
 천일염에 적용되는 중금속 기준치는 느슨하기 짝이 없다. 품질검사를 통해 납은 2㎎/㎏, 비소 0.5㎎/㎏, 카드뮴 0.5㎎/㎏, 수은이 0.1㎎/㎏ 이하면 합격이다.
 납(3㎎/ℓ)과 비소(1.5㎎/ℓ)등을 뺀 항목은 폐기물관리법상 지정폐기물의 기준치보다 높은 지경이다. 지정폐기물의 기준치는 카드뮴이 0.3㎎/ℓ, 수은이 0.005㎎/ℓ이상이다.
 수입소금에 대한 안전장치는 더욱 허약하다. 지난 2001년까지 염업조합에서 해왔던 품질검사를 수입업자들이 중심이 돼 만든 한국염판매협동조합에서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었다.
 공장폐수와 분뇨 등으로 해수오염이 심각한 중국현지 사정과 수입부담금 폐지로 소금수입량이 증가하는 현실을 볼때 이해하기 어려운 조치다.
 관리체계의 느슨함과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구조는 중국산 소금의 국내산 둔갑을 부채질 했다.
 소금이 식용으로 사용되는 양은 연간 42만8천t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천일염 공급량은 21만t에 불과하다. 나머지 21만여t은 수입염이나 전기분해를 해서 얻은 기계염에 의존하고 있다.
 사실 수입염의 맛은 국산염을 따라 잡을 수 없다. 수입염은 산성인데 비해 국내산은 알카리성으로 미네랄이 풍부하다. 김치를 담글때도 수입염은 발효가 안되고 쓴맛이 난다. 국내산 소금이 수입염보다 3∼4배 비쌀 수 밖에 없고, 중국산 소금의 국내산 둔갑의 단초가 되고 있다.
 이런 불법행위가 기승을 부리자 염업조합에서 지난 6월 품질인증서인 바코드 시스템을 구축해 국산소금 보호에 나섰다. 그러나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엔 역부족이었다.
 염업조합이 홍보차원에서 한장씩 나눠준 바코드를 도매업자들이 대량으로 위조해 농협에까지 유통 한 것이다.<박정환·김칭우기자> hi21@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