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가 밝힌 경마중독자 실태는 가히 충격적이다. 그렇잖아도 도박산업이 크게 늘면서 사회적으로 사행심리 확산이 문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비록 경마에 국한된 것이라도 해도 중독자의 절반이 소득탕진으로, 이른바 ‘패가망신’을 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한국마사회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경마중독자는 5만4천명에 이르며 이중 절반 정도가 월 소득 300 만원 이하이나 소득의 대부분을 경마에 탕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독자 수가 많은 것도 문제지만 그 실태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치 않을 수 없다. 더욱 심각한 것은 중독자 실태가 이러하나 이를 억제해야 할 공공기관들이 국민들의 사행심리를 오히려 더 부추기고 있다는 데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정부와 산하기관, 지방자치단체들이 개설, 운영중인 경마장과 경륜장 등은 물경 50곳이 넘는다. 재정수입 확충이 개설 이유다. 실제 이 결과. 지난 한해 경마, 경륜, 카지노, 복권 등 4개 도박산업으로부터 거둬들인 세금과 기금 등 재정수입이 2조8천억원에 달했다. 지난 1999년에 비해 3배나 늘어난 규모이다.
 공공기관들이 국민의 사행심리를 이용해 톡톡히 재미를 보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그 부작용은 너무 크다. 전문기관 조사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9.3%가 도박중독에 걸려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세계 평균이 1~2% 수준임을 감안한다면 가히 도박공화국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도박중독은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그 폐해는 중독자 개인에만 그치지 않는다. 가정파괴에 이어 사회적으로도 건전한 노동의식을 훼손하고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등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금과 같이 눈앞의 이익만을 노리는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는 뿌리부터 흔들릴 우려가 있다. 주 5일제 근무 확산으로 앞으로 도박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점에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개개인의 사행심리를 막을 도리가 없다 해도 적절히 충족시키면서 건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정부는 품격이 있어야 국민이 믿고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