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지역 중소기업들이 심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정부가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는 있으나 효과가 나타나기에 이른 때문인지 구인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중소기업으로써는 경기불황으로 인한 판매난과 자금난 외에 구인난까지 겹쳐 3중고에 처해 있는 셈이다.
 중소기업청이 최근 실시한 중소기업 인력실태 조사결과는 중소기업들이 현재 얼마나 심각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결과, 기업경영에 필요한 인력정원보다 인천지역 중소기업은 4.5명, 경기지역은 7.9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률도 높아 지난 1년간 인천과 경기지역 중소기업의 근로자 100명당 20~25명이 일자리를 옮겼다. 직원이라고 해봤자 고작 수십 명에 불과한 중소기업의 실정을 감안한다면 생산활동이 지속되고 있음이 신기할 정도이다.
 물론 정부가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기는 하다. 최근 내놓은 취업 장려책이 바로 그 예로 중소기업 취업자에게 국민주택 우선분양권을 부여하는 것을 비롯해 장기근속자의 창업지원, 대학교수 등 전문인력의 중소기업 임직원 겸임 허용, 중소기업 체험사업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현장감이 떨어지기 때문인지 아직 별무 효과다.
 사실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결할 열쇠는 학생들이 쥐고 있다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그렇건만 아쉽게도 학생들 사이에 퍼져 있는 중소기업 취업기피 현상은 여전하다. 미래에 대한 비전과 직업 안정성이 떨어지고 임금이 낮다는, 한번 각인된 중소기업의 부정적 이미지가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기업들이 인력충원 애로요인으로 ‘임금조건이 맞지 않아서’와 ‘중소기업 근무기피 의식’ 등을 주로 꼽은 것도 이같은 실태가 반영된 결과이다.
 이제는 정부 뿐 아니라 일반국민들도 중소기업이 발전하지 못하면 국가경제 발전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조치가 강구돼야 한다. 인센티브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는 한편 학생들의 부정적인 중소기업관을 불식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도 서둘러야 한다. 일반국민들도 중소기업 문제에 좀더 많은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