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경기도민의 숲’ 프로젝트가 시행 초반부터 환경 파괴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한마디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자연공원 안에 편의 시설을 갖춘 ‘또 다른’ 공원을 만들겠다는 것이니 반발이 이는 것은 어찌보면 너무도 당연하다 할 수 있다.
 도는 현재 훼손된 녹지를 복원하고 시민 휴식 공간을 확충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수리산를 대상으로 200만평이 넘는 공원조성 사업을 벌이고 있다. 작년 10월 수립된 ‘22세기 경기도민의 숲’ 프로젝트에 따라 2014년을 목표로 추진되는 이 사업에 투입되는 사업비도 무려 1천9백억 원에 이른다. 규모 뿐 아니라 예산 면에서도 대규모 사업인 셈이다. 물론 자연 환경을 되살리겠다는 데 사업비의 많고 적음에 이의를 달 시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만시지탄의 감이 있더라도 환영을 해야 함도 마땅하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비난의 소리가 잦아 들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도의 계획이 수리산에 20-30만평 규모의 미니 신도시를 만들겠다는 것과 다를 게 없어 새로운 환경 훼손이 우려된다는 주장이다. 도의 설명과는 달리 세부 사업 내용에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녹지를 복원하겠다는 사업이 환경 파괴 논란을 낳고 있는 것이다. 도는 부정적인 여론이 높아지자 편의 시설을 최소화해 공원을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 역시 설득력이 떨어지기는 매한가지다.
  ‘경기도민의 숲’ 프로젝트가 사업 취지와는 다르게 이처럼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우선 자연 생태공원에 인위적으로 공원을 만들겠다는 발상부터가 잘못된 때문이다. 여기에 아무리 자연 친화적으로 한다 해도 일단 편의 시설을 지으려면 환경 훼손은 불가피한 일이다. 수리산의 녹지 훼손조차 기초단체들이 무분별하게 허가를 남발해 초래된 면이 적지 않아 사업 명분 또한 취약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녹지 복원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놔두고 보호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이런 점에서 수리산 공원조성 계획도 근본부터 다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시민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사업이라 해도 자연 환경과 관련된 것이라면 신중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