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3일 발표한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는 지방 중소기업들이 현재 얼마나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가를 새삼 절감케 한다. 자칫 이러다 지방 중소제조업계에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는 것은 아닐지 걱정을 놓을 수 없다. 애로 타개의 수단으로 이전을 검토중인 지방 중소기업들이 중국과 수도권 지역을 선호하고 있다는 사실도 소홀히 넘길 대목은 아니다. 정책당국은 대책 마련에 결코 지체해서는 안될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지역경제는 장기간 불황의 늪에 빠져 있고 지역별로 다소간 차이는 있지만 애로사항도 적잖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중소기업 관련시책이 별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문제는 대기업에 비해 소재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들이 과연 이같은 여건 악화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하는 점이다.
 자구 노력에 신경을 쓰는 기업도 있지만 조사대상 중 14%는 업종 전환을, 12.4%는 해외 이전을, 7.4%는 국내 다른 지역으로의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마디로 지역소재 중소기업의 30% 이상이 ‘소재지에서의 계속 경영’ 의사가 없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이 경제 기반을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써는 심각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더더욱 이번 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이 이전 선호지역으로 중국과 수도권 지역을 꼽고 있다는 사실도 관심을 끈다. 정부는 지방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수도권 규제 유지, 비수도권 지원 확대라는 종래의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임을 거듭 역설하고 있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또다시 수도권 경제력 집중을 의미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니 정책 입안자들이 과연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할 뿐이다.
 정책당국은 무엇보다 지방 중소기업들의 사기 진작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들이 지적하고 있는 애로 타개에 진력해야 한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지방 중소기업들이 서울 등 수도권으로의 이전을 검토중이라는 것은 국가 시책의 한계를 또다시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계속되는 규제에도 기업들이 왜 이토록 수도권으로 오려 하는지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