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북 콘서트의 계절이 돌아왔다. 내년 총선에 나서려면 이맘때 책을 내고 지지자를 불러 모아 세를 과시해야 한다. 당내 경선용 캠프 구성을 위한 경쟁도 은밀하게 시작되었다. 경선 캠프가 탄탄해야 본선 승리를 기대할 수 있다. 정당은 정당대로, 후보자는 후보자대로 아는 인맥, 모르는 인맥 총동원해서 인재영입에 열을 올린다. 민주화 이후 30여년이 흐르면서 한국사회는 '캠프 중심 사회'로 확실히 접어들었다.

2020년에 치러진 21대 총선 지역구 경쟁률은 4.4대 1이었다. 253개 지역구에 등록한 후보가 1118명. 선거법상 후보 1명이 지역구 선거사무소에 둘 수 있는 선거운동원은 20명이다. 등록후보자의 지역구사무소 인력만 1만1000여명이다. 여기에 비선 캠프까지 보태면 최소 2만 명이 넘는다. 경선 단계로 내려가면 여기에 곱하기 2를 해야 할 터. 중앙당 캠프를 포함하면 대략 5만~10만 명이 내년 4월까지 당선을 향해 뛴다는 얘기다.

민주화 이후 대선 캠프, 총선 캠프, 지선 캠프는 갈수록 커지는 추세를 보여준다. 머리깨나 돌아간다는 정치권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고, 지명도가 있으면 분야를 가리지 않고 끌어들인다. 정책과 공약을 수립할 지식인 특히 대학교수들을 앞다투어 영입한다. 특정 캠프에 이름을 올리는 언론계와 시민사회 인사들도 적지 않다. 2년에 한 번꼴로 전국적 선거가 치러지니 최소한 수십만 명이 선거캠프 관계자가 아닐까 싶다. 물론 선거 전략과 공약이 최종 결정되는 곳은 공식 캠프가 아니라 비선 캠프라는 사실을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선거대책위원회를 뜻하는 캠프가 인재를 끌어들이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모든 계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야 하는 정치 본연의 목적과 기능과도 부합한다. 정치가 블랙홀처럼 인물을 싹쓸이한다는 일각의 우려를 원론적으로만 보면 기우다. 그런데, 선거 이후 국회와 중앙정치권이, 자치단체와 지방의회가 돌아가는 꼴을 보면 '캠프 중심 사회'가 정말 바람직한가 하는 우려를 떨치기 힘들다.

무엇보다도 어느 캠프나 '어떻게든 이기고 보자 주의'에 지배당한다. 허튼 공약이 남발되고, 이전투구 흑색선전의 진앙도 십중팔구는 캠프일 가능성이 높다. 당선만 되면 캠프 인사는 손쉽게 한 자리씩 차지한다. 캠프에 발을 담그지 않는 인물에게 돌아갈 자리는 이제 없다. 즉, 사회가 돌아가는 기본 틀이 선거캠프를 중심으로 주조된다. 선거민주주의의 어쩔 수 없는 부작용일까, 한국 시민사회가 덫에 치인 걸까.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꽃다발을 던지는 사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 사망자가 1만7000명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절반이 어린이 희생자다. 가장 최근 접한 사진은 이스라엘 군인들이 팔레스타인 남자들을 팬티 차림으로 줄지어 무릎 꿇린 장면이다. 1980년 5월 광주의 영상이 떠오른다. 이스라엘은 하마스 대원이라 주장하지만, 외신은 상당수가 민간인이라고 전한다. 설령 민간인이라 하더라도 저리 벌거벗겨 굴욕을 주는 일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 진짜 하마스의 아지트라 해도 난민이 들어찬 병원을 마구잡이로 폭격해서는 안 되듯 말이다.<꽃다발을 던지는 사람>. 그라피티를 그리는 뱅크시 [썰물밀물] 안성 칠장사 안성 칠장사는 7세기 신라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했다는 절이다. 하지만 본격 기록이 나오는 것은 11세기 고려시대 들어서다. 유교 국가 조선시대에는 인조 때 인목왕후(소성대비)가 원찰로 삼으면서 중창되었다.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는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쫓겨난 후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김제남)와 아들(영창대군)의 넋을 달래기 위해 칠장사를 원찰로 정했다. 그러나 칠장사는 이후에도 숙종 때 세도가들이 무덤 자리를 만들려고 절을 불을 지르는 일이 되풀이되는 수난을 겪었다.하여튼 천년고찰답게 칠장사에는 역사 인물들의 전설이 여럿 전해진다. [썰물밀물] 미륵고개→미루꾸고개→캐러멜고개 광덕고개는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이다. 해발 600m가 넘고 50여 굽이 급경사가 이어진다. 20여 년 전 고개 정상에서 열리는 장터를 처음 찾아갔을 때 매우 신선했던 기억이 난다. 그 높은 곳에서 경기-강원 이쪽저쪽을 아우르는 장이 서다니…. 나물과 특산물을 파는 이 장터는 '하늘장터'라 했다.광덕고개 넘는 길은 6·25 때 군사도로로 닦였다. 그리고 꽤 오랫동안 '캐러멜 고개'라고 불렸다. 고개를 넘던 장군이 운전병에게 졸지 말라며 한 굽이 [썰물밀물] 동광극장을 사랑하는 사람들 동두천 동광극장은 단관극장이다. 상영관이 하나여서 한 번에 한편씩만 개봉한다. 동시에 여러 영화가 상영되는 멀티플렉스가 대세가 되기 전까지 극장은 으레 그랬다. 표 한 장으로 철 지난 영화 여러 편을 잇따라 보여주는 '고무신극장'이냐, 최신작 한 편만 거는 개봉관이냐는 차이만 있었다. 영화와 극장 시스템이 바뀌면서 동광극장 같은 단관극장은 전국적 '희귀템'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동광극장은 가장 오래된 단관극관이다.1950년대 동두천에는 동두천극장, 신영극장이 있었으나, 1959년 동광극장이 문을 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