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줄다리기는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1920년 앤트워프 올림픽까지 관중들이 열광하는 올림픽 정식종목이었다. 5~8명이 한 팀을 이뤄 5분 안에 6피트(183㎝)를 먼저 잡아당기면 이기는 경기였다. 3판 2선승제였는데, '오징어게임'의 줄다리기 못지않게 인기였다 한다. 아쉽게도 이후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 종목 중 하나다. 2020년 도쿄 올림픽 때는 정식종목 채택이 다시 시도되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한편, 유네스코 무형문화협약은 2015년 줄다리기를 아시아태평양지역 4개국(한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공동유산으로 등재했다.

가을운동회 줄다리기는 청군-백군이 마주 보며 줄을 당기는 방식으로 펼쳐진다. 하지만 전국의 모든 줄다리기가 꼭 그렇게 진행되었던 건 아니다. 줄의 형태도 다양했고, 경기방식도 달랐다. 경북 울진에서 행해지던 '기줄다리기'는 여성들이 줄을 걸고 엎드린 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써 승패를 결정했다. '임진강 참게 줄당기기'도 줄의 형태와 진행방식이 다르다. 둥근 고리 형태의 중심에 양쪽으로 참게의 발처럼 각각 다섯 가닥으로 된 당기는 줄을 연결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양쪽 세 번째 다리가 가장 길고 옆으로는 짧게 한 모양새가 게의 형상을 모방한 모습이다. 각 줄에 배치된 선수들은 허리에 줄을 걸고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3판 2전승으로 승부를 낸다.

'임진강 참게 줄당기기'가 행해진 이유도 매우 흥미롭다. 강과 바다를 오가는 회유성 어종인 참게는 가을걷이 끝날 무렵 알을 낳기 위해 바다를 향해 내려간다. 이 계절에 발을 치거나 통발을 놓아 참게를 잡는 마을 사이에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패싸움은 물론이고 송사로도 번질 정도였다. '임진강 참게 줄당기기'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슬기로운 방안이다. 이긴 마을이 좋은 참게 길목을 먼저 차지하기로 합의하고, 경기를 펼쳤다. 다툼과 분쟁을 한판 놀이로 승화시킨 지혜에 무릎을 치게 된다.

민속학자 장장식 선생의 조사에 따르면 '임진강 참게 줄당기기'는 해방과 분단으로 사라졌던 민속이었는데, 연천문화원이 2012년 복원에 성공하여 2013년 경기도 민속예술제에서 우수상을, 2015~2016년에는 장려상을 받았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다시 중단되고 말았다. 공해와 오염으로 자취를 감췄던 참게는 하천 정화를 위한 끈질긴 노력 끝에 임진강으로 다시 돌아왔다. '임진강 참게 줄당기기'도 다시 행해지게 할 수 없을까?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가평, 청춘, 음악 여행작가 유승혜가 쓴 가평 답사기의 제목은 '청춘이라는 축제'다. 작가는 가평에 갔다가 구석구석에서 다시 마주친 청춘 시절의 추억들을 들려준다. 예를 들어, 우연히 들른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에서 재즈에 빠져들었던 사연 같은 것 말이다. <50만 살의 청춘-경기 북부로 떠나는 시간여행>이라는 작가의 책 첫머리 글 제목으로 이보다 더 안성맞춤이 없겠다. 언제부턴가 가평은 청춘의 고장으로 기억된다.북한강변 청평유원지 일대는 1979년 시작된 강변가요제의 무대였다. 강변가요제는 1979년부터 2001년까지 해마다 이어졌는데, [썰물밀물] 확증편향의 늪을 건너가려면 유명한 착시 그림이 있다. 보는 이에 따라 젊은 여자를 그린 그림으로 보이기도 하고, 늙은 여성 모습으로 보이는 그림이다. 제목은 '나의 아내와 시어머니'. 영국 만화가 윌리엄 엘리 힐이 1915년에 그렸다. 누구나 한 번쯤 보았음직 하다. 궁금하다면 당장 검색해 보시라.나는 처음 보았을 때 젊은 여성이 보였다. 문제는 늙은 여자가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그림이 어찌 할머니 그림이란 말인가. 아무리 다시 들여다봐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 문득 같은 그림에서 늙은 여성이 보였다. 젊은 여자의 귀로 보이던 [썰물밀물] 보물찾기의 진화 '리얼 트레저 헌터' 2021년 '대한민국 아이디어 공모전' 1위는 '치매 막는 10분 통화'였다. 연로한 부모님과 간단한 통화로 치매를 조기발견토록 한다는 발상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2위는 '증강현실(AR) 보물찾기'였다. 온라인 게임으로 보물찾기를 즐기면서 전국 곳곳을 여행하도록 하자는 구상이다. 전라남도 강진에서는 'AR 물고기 게임'을, 경상북도 상주에서는 '리니지 게임'으로 구슬을 얻는 식이다. 아이디어를 낸 중학교 2학년 윤서영 양은 할머니 댁이 있는 강진을 찾는 사람이 [썰물밀물] 지붕 없는 박물관 '조안 오래오래' 프로젝트 조안면은 남양주시 남쪽 끝 면이다. 면 동쪽으로 흘러내린 북한강이 남한강과 만나 두물머리를 이룬 뒤 면 서쪽으로 흘러나간다. 두물머리 바로 앞마을이 열수 정약용(洌水 丁若鏞)의 고향 마재다. 다산(茶山)은 선생이 강진 유배시절에 사용하던 아호이고, 열수는 마치 본관(관향)처럼 썼던 명칭이다. '자찬묘지명'을 보면, 자신을 열수 정약용이라 칭하고 아호는 사암(俟菴)이라 소개했다. 다산을 선생의 대표 아호로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낯선 이야기일 터이다. 하여튼 선생은 집 앞 한강을 '맑은 강(열수)'이라 부르 [썰물밀물] 김포 다시보기 한강신도시가 개발되기 전, 김포 장릉산 중턱에 올라 한강 쪽을 바라보면 일망무제 들판이 펼쳐졌다. 홍도평(홍두평)이라 했다. 썰물 때 나문재 붉은 잎이 벌겋게 드러나서 '붉을 홍(紅)'자 홍도평이었다가, 논이 된 후에는 기러기가 떼로 날아들어 '큰 기러기 홍(鴻)'자로 바뀌었다던가. 하여튼 홍도평 일대 김포평야에서 나는 쌀은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 붉은빛이 도는 자광미가 김포쌀을 대표했다. 그 명맥은 오늘날 '김포금쌀' 브랜드로 이어진다.김포는 4면이 물로 둘러싸였다. 동쪽으로 한강, 북 [썰물밀물] 동광극장을 사랑하는 사람들 동두천 동광극장은 단관극장이다. 상영관이 하나여서 한 번에 한편씩만 개봉한다. 동시에 여러 영화가 상영되는 멀티플렉스가 대세가 되기 전까지 극장은 으레 그랬다. 표 한 장으로 철 지난 영화 여러 편을 잇따라 보여주는 '고무신극장'이냐, 최신작 한 편만 거는 개봉관이냐는 차이만 있었다. 영화와 극장 시스템이 바뀌면서 동광극장 같은 단관극장은 전국적 '희귀템'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동광극장은 가장 오래된 단관극관이다.1950년대 동두천에는 동두천극장, 신영극장이 있었으나, 1959년 동광극장이 문을 열면서 [썰물밀물] 미륵고개→미루꾸고개→캐러멜고개 광덕고개는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이다. 해발 600m가 넘고 50여 굽이 급경사가 이어진다. 20여 년 전 고개 정상에서 열리는 장터를 처음 찾아갔을 때 매우 신선했던 기억이 난다. 그 높은 곳에서 경기-강원 이쪽저쪽을 아우르는 장이 서다니…. 나물과 특산물을 파는 이 장터는 '하늘장터'라 했다.광덕고개 넘는 길은 6·25 때 군사도로로 닦였다. 그리고 꽤 오랫동안 '캐러멜 고개'라고 불렸다. 고개를 넘던 장군이 운전병에게 졸지 말라며 한 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