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100세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배워야 노년에도 지능과 인지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지식은 책을 통해서만 습득되는 것이 아니고, 여행을 통해서도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축적된다. 그래서 누군가 이야기하기를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고, 여행은 걸어 다니며 하는 독서다.”고 말했다. 글은 책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고, 걸어 다니며 보는 세상이 곧 텍스트(text)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성 아우구스투스는 “세상은 한 권의 책이다. 그리고 여행을 하지 않으면 그 책의 단 한 페이지만 읽은 사람이다.”고 말했다.

지금은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학문이 축적되어 학교에서 많은 지식을 배울 수 있지만, 근대 이전 사회에서 학자들은 여행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나갔다. 마르코 폴로가 그랬고, 르네 데카르트, 애덤 스미스, 괴테, 니체에 이르기까지 많은 학자가 세상을 여행하며 경험과 지식을 축적했다. 실크로드를 세상에 알린 마르코 폴로는 17세(1271년)에 아버지·삼촌과 함께 동방 여행을 떠나 무려 24년을 돌아다니다, 41세(1295년)가 되어서야 베네치아로 돌아와 <동방견문록>이라는 책을 남겼다. 근대철학의 문을 연 르네 데카르트는 대학을 졸업한 후 더는 책으로부터 배울 것이 없다는 것을 느끼고, 여행을 통해 세상을 공부하기 위해 당시에 새로운 문물과 사상의 중심지인 암스테르담으로 가서 학문과 지식을 쌓아 '근대철학'의 토대를 세웠다. 애덤 스미스는 글래스고대학 교수로 재직 중 유럽 여행을 떠나는 귀족자제의 개인교수를 제안받아 함께 2년에 걸쳐 유럽 사회를 돌아다닌 후, 당시에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국부론>이라는 역작을 저술하였다.

인천에도 이런 분이 있다. 바로 세계 여행가로 알려진 김찬삼 선생이다. 인천고 지리 선생님이었던 그는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 일주를 시도하며 160여개 나라 1000여개의 도시를 방문한 기록을 모아 <김찬삼의 세계여행>을 펴내 사람들에게 넓은 세계에 눈을 뜨게 하였다. 김찬삼 선생은 중학교 3학년 때 이미 세계지도를 벽에 붙여놓고 “마르코 폴로가 서방에서 동방으로 왔다면, 언젠가 나는 동방에서 서방으로 갈 것”이라고 다짐했다고 한다. 한국의 가을은 정말 명품이다. 가을에는 독서도 좋지만, 독서는 가을에만 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 해야 하고, 가을에는 걸어 다니며 하는 독서인 여행을 떠나는 것도 좋을지 싶다.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관련기사
[썰물밀물] 가을과 독서 지난 3년 동안 코로나로 인해 적막했던 대학 캠퍼스가 새 학기가 시작되니 복작거리며 활기가 넘쳐난다. 역시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만나서 얼굴 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해야 사는 맛을 느낀다. 대학에 있으며 가을학기 개강하면 첫 시간에 반드시 묻는 말이 있다. 가을은 어떤 계절입니까? 그러면 대다수의 학생이 '천고마비의 계절' 혹은 '독서의 계절'이라고 답했다.다 맞는 말이다! 가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풍요로운 계절, 더위가 한풀 꺾여 선선해 책 읽기 안성맞춤인 계절이다. 그런데 독서는 가을에만 [썰물밀물] 도시는 입지가 경쟁력이다 불도저시장으로 불렸던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은 '도시는 선이다.' 구호를 외치며, 당시 350만이 살던 서울의 한강, 여의도와 영동지구 개발을 밀어붙였다. '도시는 선이다'는 구호는 방사형 도로나 외곽순환도로 등을 포함한 도로교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말인데 김현옥과 친분이 두터웠던 소설가 이병주가 처음 썼다고 한다(전주일보, 2017.10.31 기사 참조).도시에서 길, 도로는 중요하다. 그렇다고 도시는 선(길)만 있는 게 아니다. 선이 있기 전에 점이 있고, 점이 모여, 선을 만들고, 선들 [썰물밀물] 도시:이성과 본능의 타협 공간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읽다가 문득 문학·음악·도시 모두 동일한 원리가 작동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니체는 비극의 탄생에서 그리스 비극(염세적 사고)이 그리스 정신의 총화로 보았다. 그리고 그리스 비극은 아폴론적 예술과 디오니소스적 예술의 혼합과 변용의 결과로, 그리스 정신은 이 두 정신세계를 근원으로 탄생했다고 니체는 말했다. 여기서 아폴론(태양, 빛의 신)적인 것은 이성과 지혜를 상징하며 인간세상의 모든 균형 잡히고 합리적인 형상을 의미하고, 디오니소스(술, 광기의 신)적인 것은 인간의 본능에 따른 신비적이고 비합리적 쾌감과 도 [썰물밀물] 하인리히법칙&위험사회 그리고 대한민국 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s law)은 어떤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 징조로 수십 차례의 경미한 사고와 수백 번의 사소한 징후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것을 뜻하는 통계적 법칙이다(나무위키). 즉, 큰 사고는 우연히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전에 반드시 일정 기간 여러 번의 경고성 징후와 전조들이 있는데 이런 징조를 사소한 것으로 방치할 때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는 것이다.위험사회는 독일 사회학자 울리히 벡이 제기한 개념으로 과학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인간생활의 효율성, 편리성, 신속성 등이 높아졌지만, [썰물밀물] 21세기는 도시중심 시대다 역사적 과정을 보면 국가와 도시 사이에는 끊임없는 헤게모니 쟁취를 위한 보이지 않는 투쟁이 이어져 왔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는 전쟁기재의 역할을 해왔고, 도시는 성장의 소재지로 활동했다. 다시 말해, 국가는 군비가 축적되면 영토 확장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고, 도시는 전쟁을 지원하는 성장 도구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 제국이 붕괴하면서 아테네가 함께 몰락했고, 로마제국이 무너지면서 대도시 로마의 쇠퇴를 가져왔다.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국력이 도시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이런 원리를 무너뜨린 [썰물밀물] 미술관 옆 동물원 심은하와 이성재가 주연으로 나와 잔잔한 로맨스를 선사한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은 활기차고 솔직한 철수(동물원)와 정적이고 내향적인 춘희(미술관), 두 사람의 기이한 만남이 서서히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 마지막에는 함께 같은 방향으로 걸어가는 줄거리를 가진 영화다. 비록 영화는 크게 히트하지 못했지만(?) 한국 멜로영화의 레전드로 꼽히고 있다. 필자가 '미술관 옆 동물원'을 논제로 들고나온 이유는 영화에서도 '미술관 옆 동물원'이 서로 다른 성격의 주인공들 이미지를 담고 있지만,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