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10년 전인 2013년 포천시에서 논쟁이 붙었다. 포천이라는 지명이 역사에 등장한 게 언제냐가 초점이었다. 통설은 조선 태종 13년 즉 1413년 포천군이 탄생했다는 기록을 내세웠다. 따라서 2013년이 '포천 600'주년이라는 것이다. 반면 일부 향토사학자는 고려 성종 14년 즉 995년에 십도제를 실시하면서 포천군이 등장했다는 주장으로 맞섰다. 무려 1018년 전에 포천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어느 쪽이 맞느냐는 관심사가 아니다. 다만, 포천이라는 고장은 최소 600년, 최고 한 밀레니엄이 넘는 역사를 가진 곳이라는 점만은 기억하자.

지난주 포천시의회가 '시 상징물 조례 일부개정안'을 부결시켰다. 찬성 2표, 반대 4표. 도시브랜드 변경을 추진해온 현 시장과 같은 당 의원들은 찬성, 상대 당은 반대였다. 시장은 시 승격 20주년(2023년 10월)을 앞두고 지난해부터 도시브랜드(BI) 교체를 추진해왔다. 시 예산이 2000만원 들었다. 새로운 마크 도안이 완성되어 선까지 보였다. 하지만 조례 개정 부결로 볕을 보지 못하게 됐다. 만약 시의회에서 통과되었다면, 이미지통합(CI)을 위해 수많은 시 상징과 간판을 바꿔 달아야 했을 것이다. 또한 각종 문서도 새롭게 인쇄해야 한다. 여기에 시안 마련 비용의 몇 곱절이 들었을 게다.

지금의 BI는 2020년 만들어졌다. 현 시장의 바로 전임 시절이었다. 슬로건은 '평화로 만들어 가는 행운의 도시 포천', 이미지는 네 잎 클로버를 마치 손을 맞잡은 네 사람 모습으로 형상화했다. 흥미롭게도 이 BI는 2022년 어느 언론사가 주최하는 '브랜드 대상'을 받았다. 태어난 지 3년, 상 탄 지 1년 만에 사라질 위기를 넘긴 BI가 앞으로 얼마나 더 포천의 도시브랜드 역할을 할까 궁금해진다. 사실 그 이전의 포천 BI는 '무궁무진 포천'이라는 슬로건 밑에 뫼비우스의 띠 같은 무한대 도안을 넣은 것이었다. 민선 5기인 2009년에 채택됐다.

지난해 민선 8기 선출 이후 새로 당선된 자치단체장들이 전임이 타던 멀쩡한 관용차를 교체하는 일이 곳곳에서 벌어졌다. BI와 CI도 싹 바꾸고 싶었을 터이다. BI와 CI는 도시정체성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 30년 동안 성공한 도시브랜드가 대체 몇 개나 되나. 단체장 바뀔 때마다. 거기서 거기인 것들을 세금 들여 바꾸는 시행착오가 반복된다. 역사가 담기고 미래가 엿보여서 사랑받는, 그런 작품을 내놓는 일이 지난하기 때문일 것이다. 모든 도시의 건투를 빈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김포에서 기른 공심채 태국에서는 공심채라는 식물 줄기를 플라스틱 빨대 대용으로 쓴다는 소리를 들었다. 말 그대로 가운데[心]가 빈[空] 채소[菜]인 덕이다. 수원화성 공심돈을 연상하면 이해가 빠를 듯하다. 국내에서는 태국식 공심채 볶음으로 제법 소문이 났다. 공심채는 태국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우리네 김치처럼 먹는 채소라고 한다. 빈 줄기 속으로 양념이 잘 배기에 맛이 없을 수가 없다는 게 공심채 애호가들의 칭찬이다. 동남아 출신 이주민들에게 공심채 요리는 꿈에도 못 잊을 고향 음식일 게다.아시아로컬푸드복지협동조합과 김포시아열대작목 [썰물밀물] 화성시 융·건릉 외금양계비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림보호정책은 금표(禁標)를 세우는 일이었다. 나무, 특히 소나무를 함부로 베어내지 못하도록 산 곳곳에 금표를 세웠다. 금표 안쪽에서 벌목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방목하는 일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쓰레기를 함부로 내다 버려도 안 되었다. 정조 임금 때에 강화에 세워진 금표에는 '가축을 놓아 기르는 자 곤장 100대, 재를 버리는 자 곤장 80대'라는 중벌이 명기되어 있다. 지은 죄에 비해 벌이 매우 무거워 보인다.왕릉 주변은 훨씬 더 엄격하게 보호되었다. 일반 백성이 감히 왕릉 주변을 훼손할 일이야 [썰물밀물] '빙하 장례식'과 '흰죽' 시인이 골목 어귀에 붙은 오래된 포스터 한 장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광활한 설원, 발목까지 덮는 눈길을 한 사내가 포스터 속에서 걷고 있었다. 눈 속에 파묻힌 사내의 발이 시리고 아파 보였다. 아니, 시인의 발이 아파왔다. 시인이 집에 돌아 와 신발을 벗는데 피가 비쳤다. 발을 씻으며 아무리 살펴봐도 상처가 없었다. “오직 한 생각으로 먼 설원을 건너가다 보면// 가도 가도 없는 사랑을 앓듯,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 (이덕규 시인의 시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의 마지막 두 연.)이 시가 [썰물밀물] 수원 국제아동도서&콘텐츠 페스타 '북키즈존' 존은 지각대장이다. 아침 학교 가는 길에 온갖 모험을 겪는다. 하수구에서 기어 나온 악어를 만나고, 산더미 같은 파도에 휩쓸리기도 한다. 하지만 선생님은 존을 거짓말쟁이라며 벌을 세운다. 존 커닝햄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를 처음 읽던 날 무릎을 쳤던 기억이 난다. 등하교길에 도마뱀을 쫓고, 미꾸라지를 잡던 어린 시절이 순식간에 수십년 세월을 건너왔기 때문이다. 존 커닝햄의 또 다른 작품 <우리 할아버지>에서는 할아버지와 손녀의 밋밋한 일상이 감동으로 승화되는 솜씨에 탄복하기도 했다.추석 연휴 직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국제아 [썰물밀물] 보물찾기의 진화 '리얼 트레저 헌터' 2021년 '대한민국 아이디어 공모전' 1위는 '치매 막는 10분 통화'였다. 연로한 부모님과 간단한 통화로 치매를 조기발견토록 한다는 발상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2위는 '증강현실(AR) 보물찾기'였다. 온라인 게임으로 보물찾기를 즐기면서 전국 곳곳을 여행하도록 하자는 구상이다. 전라남도 강진에서는 'AR 물고기 게임'을, 경상북도 상주에서는 '리니지 게임'으로 구슬을 얻는 식이다. 아이디어를 낸 중학교 2학년 윤서영 양은 할머니 댁이 있는 강진을 찾는 사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