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시인이 골목 어귀에 붙은 오래된 포스터 한 장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광활한 설원, 발목까지 덮는 눈길을 한 사내가 포스터 속에서 걷고 있었다. 눈 속에 파묻힌 사내의 발이 시리고 아파 보였다. 아니, 시인의 발이 아파왔다. 시인이 집에 돌아 와 신발을 벗는데 피가 비쳤다. 발을 씻으며 아무리 살펴봐도 상처가 없었다. “오직 한 생각으로 먼 설원을 건너가다 보면// 가도 가도 없는 사랑을 앓듯,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 (이덕규 시인의 시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의 마지막 두 연.)

이 시가 다시 떠오른 건 빙하학자 제마 위덤의 <빙하여 안녕> 소개 글을 읽다가 '빙하 장례식'이라는 단어와 마주쳤기 때문이다. “설원” 하면 나는 20세기 초 남극점 찾기 경쟁에 나선 노르웨이사람 로알 아문센과 영국사람 로버트 스콧이 썰매 타고 내달리는 광경이 먼저 떠오른다. 어린 시절 읽은 서양 탐험가 이야기가 깊이 각인된 탓일 게다. '빙하 장례식'은 아문센 스토리와 정반대인데도 그렇다.

일련의 기후학자와 지역전문가들은 2019년 8월 아이슬란드 최초의 빙하 오크외쿨의 장례식을 열었다. 이 거대한 얼음 덩어리는 2014년 사망판정을 받았다. 더는 빙하라고 불리지 못하게 된 것이다. 남극점 탐험으로부터 불과 100년 사이에 벌어진 일이다. 오크외쿨 빙하 외에 스위스 피졸 빙하, 미국 오리건의 클라크 빙하 등이 기후활동가들의 애도 속에 잇따라 장례식을 치렀다. 빙하 장례식에 갔다 오면 아마도 상처 없이 내 발에서 피가 흐르지 않을까? 가도 가도 없는 사랑을 앓듯 만년설이 사라지는 시대. 새로운 공감과 치유가 절실하다.

이덕규의 시집 <오직 사람 아닌 것> 첫머리에 '흰죽'이라는 시가 실렸다. “어느 가난한 흰빛의 최후를 수습한, 이 간결하고 맑은 슬픔은// 결백을 달이고 달여 치명에 이른 순백의 맑은 독 같아서// 험하게 상한 몸속의 사나운 짐승을 제압하는 일에 쓰인다네// 차마, 검은 간 한 방울 떨어뜨려// 흐린 제 마음 빛으로나 어둡게 받아야 하는 청빈의 송구한 맨살이라네” ('흰죽' 전문) 천천히 아주 천천히 흰죽 한 사발 송구한 마음으로 먹고 싶다.

시인이 보기에, 쌀 한 톨 만드는 일은 하늘과 땅과 사람과 온갖 생물과 미생물이 함께 하는 울력이다. 그는 그중 사람 한 일이 가장 적다고 믿는다. 묵정논 같은 시인이 “오직 사람 아닌 것”에게 올리는 고수레 같은 시집 덕분에 더위도 잠시 잊었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부천아트벙커B39 벙커(bunker)라는 영어 단어에는 '석탄저장고'라는 뜻이 있다. 석탄이 가정용 연료로 자리 잡으면서 석탄 쟁여두는 장소를 벙커라 불렀다고 한다. 우리네로 치면 '연탄광'인 셈인데, 영국 벙커는 작은 방공호처럼 생겼던 모양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벙커는 방공호, 은폐나 방어를 위한 콘크리트 요새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그렇다면, 골프장 모래구덩이도 석탄저장고 안을 연상시켜서 벙커인 걸까?)쓰레기소각장에서 벙커라고 하면 쓰레기를 모아 두는 시설을 가리킨다. 하루 수백 톤을 처리하려면 노르망디 독일군 [썰물밀물] 번창해라, 안산 블루밍 세탁소! 올해 초 노동자작업복 전용 세탁소가 생긴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 든 생각은 '참신한 걸!'이었다. 땀과 기름때에 절고, 유해화학물질 범벅인 작업복을 깨끗한 옷으로 되돌려 받는 상쾌한 기분은 상상만으로도 유쾌했다. 정보를 좀 더 찾아보니 2~3년 전부터 전국 지자체 곳곳에서 이 같은 공동세탁소 문을 열었거나 준비 중이었다. 그렇다 해도 경기도가 작업복 세탁소 설립에 나선 건 박수 받을 일이다. 누가 먼저냐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대부분의 회사는 작업복을 1년에 1~2차례 지급하기만 했지 세탁은 개인의 책임으로 넘기는 [썰물밀물] 팥죽땀 노동 아침에 눈을 뜨면 뉴스보다 날씨를 먼저 검색하게 되는 요즈음이다. 폭우가 어느 정도 지나갔다 싶으니 온도부터 살핀다. 스마트폰이 예보하기를 8월 들어서면 최고기온이 33도로 치솟고 열대야도 이어지리라 한다. 말복(8월10일)이 지나면 나아질까 아니면 광복절? 어쩌면 늦더위가 기승을 부려 8월 말까지도 찜통더위가 이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해마다 찾아오는 더위지만 사람들은 언제나 올여름이 가장 덥다고 한다.지난 6월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주차장 쇼핑카트 정리 업무를 하던 30대 초반 노동자가 숨졌다. 최고기온 35도 날씨에 하루 [썰물밀물] 화성시 융·건릉 외금양계비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림보호정책은 금표(禁標)를 세우는 일이었다. 나무, 특히 소나무를 함부로 베어내지 못하도록 산 곳곳에 금표를 세웠다. 금표 안쪽에서 벌목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방목하는 일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쓰레기를 함부로 내다 버려도 안 되었다. 정조 임금 때에 강화에 세워진 금표에는 '가축을 놓아 기르는 자 곤장 100대, 재를 버리는 자 곤장 80대'라는 중벌이 명기되어 있다. 지은 죄에 비해 벌이 매우 무거워 보인다.왕릉 주변은 훨씬 더 엄격하게 보호되었다. 일반 백성이 감히 왕릉 주변을 훼손할 일이야 [썰물밀물] 김포에서 기른 공심채 태국에서는 공심채라는 식물 줄기를 플라스틱 빨대 대용으로 쓴다는 소리를 들었다. 말 그대로 가운데[心]가 빈[空] 채소[菜]인 덕이다. 수원화성 공심돈을 연상하면 이해가 빠를 듯하다. 국내에서는 태국식 공심채 볶음으로 제법 소문이 났다. 공심채는 태국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우리네 김치처럼 먹는 채소라고 한다. 빈 줄기 속으로 양념이 잘 배기에 맛이 없을 수가 없다는 게 공심채 애호가들의 칭찬이다. 동남아 출신 이주민들에게 공심채 요리는 꿈에도 못 잊을 고향 음식일 게다.아시아로컬푸드복지협동조합과 김포시아열대작목 [썰물밀물] 역사와 미래가 담긴 도시브랜드를… 10년 전인 2013년 포천시에서 논쟁이 붙었다. 포천이라는 지명이 역사에 등장한 게 언제냐가 초점이었다. 통설은 조선 태종 13년 즉 1413년 포천군이 탄생했다는 기록을 내세웠다. 따라서 2013년이 '포천 600'주년이라는 것이다. 반면 일부 향토사학자는 고려 성종 14년 즉 995년에 십도제를 실시하면서 포천군이 등장했다는 주장으로 맞섰다. 무려 1018년 전에 포천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어느 쪽이 맞느냐는 관심사가 아니다. 다만, 포천이라는 고장은 최소 600년, 최고 한 밀레니엄이 넘는 역사를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