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일류도시 인천의 그늘: 화장실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중)

원도심 내 쪽방촌 개발은 먼 얘기
집 좁아 화장실 만들 공간 없어
용변 보려면 좁은 골목 지나야

골목길 바닥 대부분 깨지고 부식
취약한 환경에 위생 문제 노출
그럼에도 이들은 꿋꿋하게 버텨
▲ 인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대. 복잡하게 엉킨 전깃줄 아래에는 좁은 골목길을 따라 화장실 없는 집들이 줄지어 있다.

공용 공간에 따로 마련된 화장실을 사용하는 인천 내 5000여 세대. 이들은 어떻게 극한의 환경으로 내몰리게 됐을까.

각자의 사연은 있겠으나 공통분모를 찾자면 사업성을 우선 고려한 도시 개발에 따라 수반된 불평등이다.

모든 도시가 그렇듯 인천도 마찬가지다. 기존에 형성된 도시가 노후화하며 새롭게 도시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시는 '신도시'란 이름으로 태어났다. '신도시'의 존재는 '구도시'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구도시의 탄생은 그 안에 또 다른 구도시 형성으로도 연결된다. 구도시에서 사업성이 좋은 일부 지역은 선택받아 개발사업이 추진되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화장실조차 없는 주택 이외 거처가 모인 환경으로 남기도 한다.

<br>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에 있는 '학익마을공중화장실'.

 

초일류도시 인천의 그늘: 화장실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화장실 없는 집들이 모여 있는 인천 미추홀구 학익소로 일대. 이 마을 사람들은 집 밖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을 이용한다
화장실 없는 집들이 모여 있는 인천 미추홀구 학익소로 일대. 이 마을 사람들은 집 밖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을 이용한다

지난 약 한 달간 살핀 동구, 미추홀구 등 인천 대표적 구도시 내 쪽방촌도 대다수 개발의 호재가 닿지 못한 곳들이었다.

어쩌다 개발 수혜가 찾아온다고 해도 또 다른 구도시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야 할 원주민들에게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대, 복잡하게 엉킨 전깃줄 아래로 이어진 좁은 골목도 그런 동네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교도소 직원들이 거주하던 곳으로, 조성된지 무려 70년이 넘었다. 과거엔 재래식 공동변소를 두고 직원들이 함께 사용하던 것이 지금은 '학익공중화장실'로 탈바꿈한 정도다.

교도소 직원 대신 이제는 나이 지긋한 노인들만 남은 이곳은 낙후된 환경에도 이제껏 변화 없이 자리를 지켜왔다. 근처에 번듯한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설 동안 꿋꿋하게도 버텼다. 빈 집 사이 몇 세대 남지 않은 주민들은 남들은 상상도 하기 싫을 만큼 불편할 공중화장실 이용도 대수롭지 않을 뿐이다.

최근에서야 가로주택정비사업지로 선정돼 재건축을 앞뒀지만, 주민들은 전혀 반기는 기색이 없다. 근처 공인중개소를 찾아봐도 “거긴 팔아도 감정가 600만∼700만원밖에 안 된다”는 답만 돌아올 뿐이었다.

60대 주민 A씨는 “집에 화장실이 있으면야 편하겠지만 보다시피 여기는 많이 낙후돼있지 않나”라며 “재건축은 한다곤 하지만 또 금방 이주가 될 것 같지도 않다”며 고개를 저었다.

 

위생, 안전 문제 떠안아야…“그래도 익숙한 나의 일상”

인천시 동구 괭이부리마을 일원.

낮이고 밤이고 용변을 보고 싶을 땐 신발을 신고 현관을 나서야 하는 일상은 이들에겐 그저 익숙한 삶의 일부다.

동구 괭이부리마을 한 60대 주민 B씨는 “바로 옆이 화장실인데 화장실이 집에 있는 거나 다를 게 뭐 있나”라며 “집이 좁아 화장실 만들 공간도 없다. 누가 와서 화장실 만들어준다고 하나?”며 되물었다.

그가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은 집에서 30초면 닿을 위치에 있는 데다가 좁은 골목 끝에 숨어 있어 거의 '전용' 화장실과 다름없다.

하지만 노년층에겐 이 거리를 오가는 일조차 버거울 때도 있다. 특히 좁은 골목에는 가로등도 없어 밤에는 칠흑 같은 어둠을 헤치고 가야만 한다. 수십 년 된 동네의 골목길이 성할 리 없듯 바닥도 대부분 깨져있었다.

인천시 동구 만석동 9-190 일원에 있는 공동화장실.
인천시 동구 만석동 9-190 일원에 있는 공동화장실.

취약한 환경 탓에 안전과 위생 문제에 항상 노출된 상황이기도 하다. 특히 코로나19가 극성이던 지난 3년여간은 이들에게 더욱더 가혹한 시간이었다.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을 경우 외출이 전혀 불가능했는데, 이때 관공서로 “집 밖에 못 나가면 화장실은 어쩌나”라는 질문들이 이어지기도 했다.

인적 드문 골목인 만큼 범죄의 위험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용변은 때론 불청객 같아서 해가 뜨지 않은 새벽이나 한밤중에도 찾아오기 때문이다. 굳어지는 취약 지역이란 이미지도 이들을 더 소외당하게 하는 요소다.

그럼에도 이곳의 이들은 여전히 버틴다.

동구 송현동에서 만난 한 노인은 “이런 곳 많다. 다른 동네 내 친구가 있어 아는데 거기도 다 그렇게 산다더라”며 “화장실이야 다 바꿔줘서 깨끗하다. 안에서 밥도 먹겠던걸?”이라며 웃었다.

/글·사진 정혜리·변성원 기자 hye@incheonilbo.com

인천시 동구 만석동 9-192 일원에 있는 공중화장실.
인천시 동구 만석동 9-192 일원에 있는 공중화장실.

 



관련기사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중) 드리워진 빈곤 그림자, 가리워진 주거 불평등 인천 동구 송현사거리 꼬불꼬불 골목길을 어지러이 따라가 보면 A할머니가 사는 집이 나온다. 다닥다닥 붙은 세대 사이 위태롭게 허약한 쪽문을 열어 그의 집에 들어가 봤다. 30도를 웃도는 한여름 습도마저 80%를 넘어 축축하고 후끈한 할머니의 집에서는 심각한 냄새가 났다.“화장실이 없으니까… 공중화장실까지 가기가 밤에는 얼마나 무서운지 몰라. 어떨 때는 힘들어서도 못 나가겠어.” A할머니는 이런 사정으로 집안에 요강 역할을 하는 통을 두고 급한 일을 해결했다. 악취의 근원이기도 했다.화장실이 없는 집. 이런 집을 현대 사회가 기능적으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상) 폭 50㎝ 길 지나야 '볼일'…빈부 사회의 쓰라린 단면 “못나서 여기서 계속 사는 거죠. 용변은 공동화장실, 샤워는 집 안에서 해결합니다. 겨울이요? 겨울엔 추워서 목욕탕으로 가야 해요.”지난 21일 찾은 인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넓지 않은 도로를 경계로 한편에는 아파트 단지가, 반대편에는 좁은 골목길을 따라 다닥다닥 붙은 허름한 집들이 조화롭지 못하게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었다.도심 속 이질적 풍경을 띄는 골목 속, 집 한 채는 이번 장마를 이기지 못하고 벽에 균열이 생겨 무너지기 직전이었다. 껍데기만 남은 빈집이 문 없이 검은 입을 벌린 채였고 닫힌 문들에는 해를 넘긴 수도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상) 화려한 불빛 뒤 씁쓸한 주거환경 민선8기 인천시는 세계 초일류도시를 존재론적 목표 지점에 두고 이르러 가고 있다. 첨단의 작업이 역동하고 국제성을 띈 조직들이 모여 번영을 이루기를 도모하며 모든 도시계획이 뚜렷하게 흐르는 중이다.이 찬란하고도 선진적인 움직임의 뒷장에는 그러나 아주 극단적인 이형(異形)이 존재하기도 한다. 인천일보는 집 안에 화장실 없이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이 인천 도처에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개인과 가정이 지내고 사는 핵심 단위인 집. 이 집안에서 인간 기본욕구 중 가장 원초적일 수 있는 배설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21세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하) 주거복지 소외지 개선, 도시 발전 출발점으로 오늘날 인천시의 주거 격차는 지금은 '문제'지만 장래엔 '재난'으로 발전할지 모른다.칠흑처럼 불운하고 지리멸렬한 주거형태는 황홀한 도시의 미래 설계 도면 어디에도 끼어들지 못한다.화장실조차 없는 집은 굳이 '주거 계급'에서의 순위를 매기자면 반지하보다, 쪽방촌보다 더 낮은 최하위 부류라고 하겠다.이런 맥락에서 인천시가 그리는 초일류도시의 모든 계획은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옳을 수 있다. 환한 곳을 더 반짝이게 해 음지를 부각시키는 간극의 심화보다 어두운 곳 부터 서서히 밝혀 전체를 완성하는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하) “주거 격차 해소하기 위해 계층별 맞춤형 지원 필요” 지난 2021년 문을 연 인천광역주거복지센터는 주거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에 상담과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창구다. 나재설(62) 센터장은 이 중 주거 사각지대로 불리는 쪽방, 컨테이너, 창고 등 비거주시설에 사는 취약계층에게 공공과 민간 자원을 연계하는 일을 주되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눈부신 도시의 성장과 개발의 저 먼 끝자락조차 가닿지 못하는 이면을 들추고 개선하는 그에게 화장실 없는 집들에 대한 구상과 합리적 조언을 구했다.인천광역주거복지센터의 역할이 종국에는 주거 빈부의 격차를 좁히는 데 있기 때문이다. 쪽방에서 여인숙,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