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일류도시 인천의 그늘: 화장실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상)

아파트 단지 반대편 좁은 골목길
10평 남짓 공간 화장실 언감생심
현관이 곧 욕실…살림살이 뒤엉켜
허름한 공중화장실 최소한 복지

무허가 건물에 정화조 설치 불법
“화장실은 사치…떠날 마음 없어”
없는 사람들의 악순환 되풀이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원 골목.

“못나서 여기서 계속 사는 거죠. 용변은 공동화장실, 샤워는 집 안에서 해결합니다. 겨울이요? 겨울엔 추워서 목욕탕으로 가야 해요.”

지난 21일 찾은 인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넓지 않은 도로를 경계로 한편에는 아파트 단지가, 반대편에는 좁은 골목길을 따라 다닥다닥 붙은 허름한 집들이 조화롭지 못하게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었다.

도심 속 이질적 풍경을 띄는 골목 속, 집 한 채는 이번 장마를 이기지 못하고 벽에 균열이 생겨 무너지기 직전이었다. 껍데기만 남은 빈집이 문 없이 검은 입을 벌린 채였고 닫힌 문들에는 해를 넘긴 수도요금 고지서가 마구잡이로 끼어있기도 했다.

그리고 집 틈에 자리 잡고 있는 '학익마을공중화장실'. 화장실조차 들어설 여유 없는 집에 사는 이들을 위해 마련된 이 골목 최소한의 복지다. 약 37년 전, 미추홀구도 아닌 '남구'이던 시절 설치돼 한차례 개조 후 주민 등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골목에서 만난 신용화(70) 씨는 자신이 나고 자란 동네를 바라보며 “못나서 산다”며 자조적으로 말했다.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에 있는 '학익마을공중화장실'.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원 골목.<br>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원 골목.

 

개발 앞두고 내몰릴까 '위태'

▲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원에 위치한 한 가정집 내부.
▲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63번길 일원에 위치한 한 가정집 내부.

“요즘 세상에 그런 집이 어딨습니까?” 화장실 없는 세대가 있는지 아느냐고 물으면 대부분 돌아오는 대답이다.

신 씨의 집은 바로 '그런 집'이다. 일본강점기엔 교도소 직원들이 사는 동네였다던 이곳은 해방 이후 가난한 이들에게 매각됐다.

화장실도 끼어들지 못한 10평 남짓한 신 씨의 집에선 현관이 곧 욕실이다. 세탁기 옆에 놓인 분홍색 세숫대야와 녹색 플라스틱 의자, 수도꼭지에 걸린 목욕용 타월이 그걸 증명하고 있었다. 이 '욕실'서 신발 벗고 한발만 내디디면 거실 겸 주방이다.

골목을 지키는 다른 이웃들도 마찬가지다. 이젠 집에 화장실 하나 둘까 싶어도 '내 집이 아니라서', '집이 좁아서' 등 주저할 이유가 가득하다. 화장실은커녕 재건축이 예정돼 조각 집에서조차 내몰릴 위기다.

인근에서 공인중개소를 운영하는 동인옥(67) 씨는 “이곳은 가로주택정비사업지로 재건축이 예정돼 있다”며 “사업대상지에 110여 가구가 살지만 빌라를 제외하면 40여 가구는 쪽방에서 산다”고 설명했다.

▲ 인천시 동구 만석동 9-608 일원에 있는 공중화장실. 화장실로 들어가는 골목이 성인 한 명이 간신히 지나갈 정도로 좁다.
▲ 인천시 동구 만석동 9-608 일원에 있는 공중화장실. 화장실로 들어가는 골목이 성인 한 명이 간신히 지나갈 정도로 좁다.

괭이부리마을로 알려진 동구 만석동 일원도 사정이 비슷하다.

동구 화도진로 186번길을 따라가다 보면 작은 집들과 공중화장실을 발견할 수 있다.

만석동 9-608에 있는 화장실은 성인 한명이 간신히 비집고 들어갈 정도로 좁은 50㎝ 폭의 벽 사이를 지나서야 모습을 드러냈다. 이곳은 각 칸이 모두 자물쇠로 잠긴 상태였다.

만석동에서 60여년을 살았다는 주민 A(69) 씨는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우기도 하고 남·여학생이 모일 수도 있어 화장실을 잠가두고 집마다 열쇠를 갖고 있다”며 “움직이는 게 불편하지만 깨끗하게 쓰면 집 안에 화장실이 있는 거나 다름없다. 재래식일 때보다 훨씬 낫다”고 말했다.

이곳 괭이부리마을에도 개발 소식이 들려온다. 인천시는 예산을 투입해 공공임대주택 등을 짓는 개선사업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괭이부리마을이 환경이 워낙 낙후되어있고 안전문제도 있는 만큼 시 차원에서 개선할 방안을 검토 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화장실은 사치”…무허가 쪽방촌 사람들

인천시 동구 송현동 일원에 공중화장실과 집들이 나란히 위치해 있다.

괭이부리마을과 조금 떨어진 동구 송현사거리 일원에는 또 다른 단면이 있다. 도로와 아파트 단지 사이에 자리 잡은 쪽방촌 주민들도 공중화장실을 이용한다. 화장지는 개별 지참이다.

빈집도 많은 이곳은 대다수가 노후한 무허가 건물인 터라 정화조 설치가 불법이다. 도시가스도 들어오지 않고 겨울이면 직접 기름을 사다 보일러를 돌리곤 한다.

통장을 맡던 때부터 직을 넘겨준 지금까지 10년 넘게 공중화장실 관리를 맡아오고 있다는 주민 B(63) 씨도 같은 상황이다.

화장실도 없고 도시가스도 들어오지 않는 좁은 집이지만 이곳을 떠날 마음은 없다. 없는 개발소식이지만 있다고 해도 반갑지 않다. 이들에게 새 보금자리를 찾는 건 아득한 일이다.

B씨는 “없는 사람들은 악순환”이라며 “여긴 개발이 된다고 해도 문제다. 평당 300∼350만원이면 7평짜리 집에 사는 우리는 그 돈으로 월세 보증금도 못 낸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로 기름이 비싸 겨울에는 씻을 때나 한 번씩 돌리며 버텼다. 그저 정부가 수리규제라도 좀 풀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정혜리·변성원 기자 hye@incheonilbo.com



관련기사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상) 화려한 불빛 뒤 씁쓸한 주거환경 민선8기 인천시는 세계 초일류도시를 존재론적 목표 지점에 두고 이르러 가고 있다. 첨단의 작업이 역동하고 국제성을 띈 조직들이 모여 번영을 이루기를 도모하며 모든 도시계획이 뚜렷하게 흐르는 중이다.이 찬란하고도 선진적인 움직임의 뒷장에는 그러나 아주 극단적인 이형(異形)이 존재하기도 한다. 인천일보는 집 안에 화장실 없이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이 인천 도처에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개인과 가정이 지내고 사는 핵심 단위인 집. 이 집안에서 인간 기본욕구 중 가장 원초적일 수 있는 배설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21세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중) 드리워진 빈곤 그림자, 가리워진 주거 불평등 인천 동구 송현사거리 꼬불꼬불 골목길을 어지러이 따라가 보면 A할머니가 사는 집이 나온다. 다닥다닥 붙은 세대 사이 위태롭게 허약한 쪽문을 열어 그의 집에 들어가 봤다. 30도를 웃도는 한여름 습도마저 80%를 넘어 축축하고 후끈한 할머니의 집에서는 심각한 냄새가 났다.“화장실이 없으니까… 공중화장실까지 가기가 밤에는 얼마나 무서운지 몰라. 어떨 때는 힘들어서도 못 나가겠어.” A할머니는 이런 사정으로 집안에 요강 역할을 하는 통을 두고 급한 일을 해결했다. 악취의 근원이기도 했다.화장실이 없는 집. 이런 집을 현대 사회가 기능적으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중) 사업성만 앞세운 도시 개발…양극화는 더 커졌다 공용 공간에 따로 마련된 화장실을 사용하는 인천 내 5000여 세대. 이들은 어떻게 극한의 환경으로 내몰리게 됐을까.각자의 사연은 있겠으나 공통분모를 찾자면 사업성을 우선 고려한 도시 개발에 따라 수반된 불평등이다.모든 도시가 그렇듯 인천도 마찬가지다. 기존에 형성된 도시가 노후화하며 새롭게 도시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시는 '신도시'란 이름으로 태어났다. '신도시'의 존재는 '구도시'의 탄생으로 이어졌다.구도시의 탄생은 그 안에 또 다른 구도시 형성으로도 연결된다. 구도시에서 사업성이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하) 주거복지 소외지 개선, 도시 발전 출발점으로 오늘날 인천시의 주거 격차는 지금은 '문제'지만 장래엔 '재난'으로 발전할지 모른다.칠흑처럼 불운하고 지리멸렬한 주거형태는 황홀한 도시의 미래 설계 도면 어디에도 끼어들지 못한다.화장실조차 없는 집은 굳이 '주거 계급'에서의 순위를 매기자면 반지하보다, 쪽방촌보다 더 낮은 최하위 부류라고 하겠다.이런 맥락에서 인천시가 그리는 초일류도시의 모든 계획은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옳을 수 있다. 환한 곳을 더 반짝이게 해 음지를 부각시키는 간극의 심화보다 어두운 곳 부터 서서히 밝혀 전체를 완성하는 [화장실 없는 집에 사는 사람들] (하) “주거 격차 해소하기 위해 계층별 맞춤형 지원 필요” 지난 2021년 문을 연 인천광역주거복지센터는 주거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에 상담과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창구다. 나재설(62) 센터장은 이 중 주거 사각지대로 불리는 쪽방, 컨테이너, 창고 등 비거주시설에 사는 취약계층에게 공공과 민간 자원을 연계하는 일을 주되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눈부신 도시의 성장과 개발의 저 먼 끝자락조차 가닿지 못하는 이면을 들추고 개선하는 그에게 화장실 없는 집들에 대한 구상과 합리적 조언을 구했다.인천광역주거복지센터의 역할이 종국에는 주거 빈부의 격차를 좁히는 데 있기 때문이다. 쪽방에서 여인숙,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