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돼지고기간장볶음, 도토리묵, 콩나물무침, 배추김치, 흑미밥과 계란국으로 차린 아침밥이 천원. 요즘 대학가에 '천원학식' 바람이 분다. 이번 학기 '천원 학식'에 참여한 대학이 40여 곳에 이른다. 학식 1인분 원가는 약 5000원. 학생이 1000원을 내면, 정부가 1000원을 보조하고, 나머지는 대학이 부담한다. 학생들이 아침밥 든든하게 먹고 공부할 수 있다는 점도 좋지만, 철칙으로만 알았던 '시장가격의 법칙'에서 벗어나도, 아니 때론 벗어나야 모두가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몸으로 느낄 기회라는 점도 좋다.

광주광역시 동구 대인시장 '해뜨는 식당'은 '천원백반'으로 유명하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백반 1인분에 1000원을 받는다. 구수하기로 소문난 된장국에 제철 재료로 준비한 반찬이 정갈하고 맛있는 데다 모든 음식은 무한리필이다. 김선자 씨가 사업실패 이후 배고팠던 시절을 기억하며 문을 연 식당은 김 씨가 2015년 작고한 뒤 막내딸 김윤경 씨가 이어받아 운영한다. 물려받은 재산을 다 쏟아붓고 보험회사 다니며 월급까지 털어 넣어도 천원백반 집은 당연히 적자다. 그래도 쌀과 부식재료를 식당 문 앞에 갖다 놓는 수많은 독지가 덕에 13년째 운영된다.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한 윤경 씨 사연에 감동했다는 시민이 많다.

'천원학식'이 대학교 담장 밖으로 진출할 수는 없을까? 시혜를 베푸는 무료급식소가 아니라, '해뜨는 식당' 손님들처럼 적은 금액이지만 당당하게 밥값을 내게 하고, 정부와 지역사회에서 보조하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브라질의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진즉부터 '시민식당'을 운영해왔다. 브라질 벨루오리존치에는 1994년 시민식당 1호가 문을 연 것을 시작으로 5호점까지 생겨났다. 누구나 시민식당에서 가서 1000원이 채 안 되는 돈을 내고 지역농산물로 차린 건강하고 풍족한 식사를 할 수 있다. 복지 혜택 차원이 아니다. 밥 먹을 권리(식량권)를 인권의 가장 기본 권리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2001년 과천시에서 초등학생 무상급식을 처음 도입한 이래 2022년 서울시가 초중고 전 학년 무상급식을 시작했다. 일부 대학에서 시작된 '천원학식'이 정치권의 청년정책 바람을 타고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부담 느끼지 않고 밥 먹을 권리를 인정하기까지 이제 딱 한 걸음 남은 듯하다. 뜻 있는 자치단체부터 다양한 '천원식당'을 시범적으로 운영해보면 어떨까. 특례시들이 앞장서면 이름값을 한다는 소리를 들을 게다. 마음이 없어 못 하지, 재원이 부족해 못 하는 일은 없는 법이다.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군포, 수리산의 선물 군포시 재궁동에 밤바위산이라는 작은 산이 있다. 밤나무 숲 속 밤바위라 불리는 큰 바위 덕에 그리 불렸다. 밤바위에 오르면 군포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그 풍경이 근사하여 예로부터 군포8경의 하나로 꼽혔다. 밤바위에는 둘로 크게 갈라진 부분이 있어 청소년들이 바위 틈새를 날아오르듯 뛰어넘는 담력 겨루기를 하곤 했다. <군포시사> 별책으로 편집된 '군포 사진 스케치'에는 바위 틈새로 도약하는 소년을 아래에서 촬영한 역동적인 사진(1968년)이 실려 있다. 밤바위산 일대는 현재 한얼공원으로 조성돼 있다.수리산 풀장에서 [썰물밀물] 아, 홈 스위트 홈! '홈 스위트 홈'의 작사가 존 하워드 페인은 평생 집이 없었다던가. 오페라 삽입곡으로 쓰였다는 '홈 스위트 홈'은 미국 남북전쟁 당시 남군도 북군도 가장 즐겨 부르던 노래였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집은 돌아갈 수 없을 때 더 그립고 간절하게 생각나는 법이다. 하여 '스위트 홈(sweet home)'은 반어법으로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올해 이상문학상을 받은 최진영 작가의 '홈 스위트 홈'은 집에 대한 기억을 다룬다. 폐암 말기에 접어든 주인공은 폐가를 사들여 생의 마지막 공간 [썰물밀물] 공존은 시대의 명령 인간과 고라니가 공존하는 길은 없을까? 요즘 광교산 일대에 고라니가 출몰해 농작물 등이 피해를 본다는 소식에 마음이 언짢다. 지난해 10월 세종시 세종수목원이 고라니 12마리를 총기 사살해 물의가 빚어졌다. 멸종위기종인 야생 동물을 그리 잔혹하게 포획할 수 있느냐는 시민 항의가 잇따랐다. 수목원 측도 할 말이 없지는 않았다. 2020년부터 고라니가 떼를 지어 다니면서 애써 심은 식물들의 새싹을 먹어치웠다. 고라니는 유해조수이기도 하다.식물보호를 위해 말 못하는 동물에게 총을 써야 하는 아이러니 상황. 세종수목원이 찾아낸 해법은 울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