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육성 있다면 '詩'
이성희

우스갯소리로 수능시험에 나온 시(詩) 문항은 그 시를 창작한 시인 자신도 틀린다는 말이 있다. 시는 발표되는 순간, 시인의 품을 떠난다. 해석의 경기장에서는 창작자 자신도 단지 한 명의 선수가 된다. 유행가 가사가 모두 내 얘기인 것처럼, 시 또한 모두의 인생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 모두가 같은 삶을 살지는 않는다. 시가 사람마다, 삶의 굽이마다 매번 새롭게 다가오는 이유이다. 지나간 인생은 다시 살 수 없다.

하지만 책은 언제든 다시 읽을 수 있다. 신형철은 인심 쓰듯 독자들에게 권한다. 시의 맨 처음으로 계속 되돌아가라고. 그래도 괜찮다고. 그 길에서 작품이 품고 있는 여러 갈래의 길을 남김없이 다 걸어도 된다고. 마치 친한 벗에게 말 걸듯 다정히 토닥인다.

동서고금에서 쓰인, 인생 그 자체의 역사가 이 책에 있다. 신형철은 시를 읽는 일에는 이론의 넓이보다 경험의 깊이가 중요하며, 사람들은 어떤 일을 통해, 알던 시도 다시 겪는다고 말한다. 고통의 각, 사랑의 면, 죽음의 점, 역사의 선, 인생의 원, 반복의 묘. 신형철이 만나고, 다시 겪었던 인생의 장면들이다. '반복의 묘'로 칭해진 마지막 부록을 제외하면 장마다 각각 다섯 편씩, 모두 스물다섯 편의 시를 엮은 시화(詩話)집이다. 가장 오래된 인생의 고통을 담은 공무도하가에서 시작해서'모두가 사랑하고 대부분 오해하는'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로 여정을 마무리한다. 부록에 묶은 자유로운 형식의 다섯 편의 글은, 신형철의 또 다른 매력을 보여준다.

시는 행과 연으로 이루어진다. 걸어갈 행, 이어질 연. 글자들이 옆으로 걸어가면서 아래로 쌓여간다. 신형철은'인생의 육성'이란 게 있다면 그게 곧 시라고 믿는다. 인생 또한 걸어가며 축적된다. 우리네 인생과 시는 서로 닮아있다.

슬픔을 공부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읽어야 할 시인 에밀리 디킨슨. 언어에 대한 환멸이 심해질 때마다 약을 구하듯 되돌아가는 책 중 하나인 손재준 번역 릴케 시선집 <두이노의 비가>. 우리에게 그가 있어 온통 다행인 일들뿐인 시인 김수영. 언제나 살기 위해 썼지, 쓰기 위해 살지 않았던 최승자. 허공을 허공으로 돌려보내는 나희덕의 시 <허공 한 줌>. 신형철의 시화집 <인생의 역사>에는 그의 삶이, 그의 역사가 오롯이 담아져 있다. 반갑다.

신형철은 그의 또 다른 책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의 머리말에서 글쓰기의 단계별 준칙을 정리한 적이 있다. 첫째, 가치 있는 인식을 생산할 것. 좋은 글이 먼저 갖추어야 할 것은 취향이나 입장이 아니라 인식이기 때문이다. 둘째, 정확한 문장을 찾을 것. 뜻한 바를 백 퍼센트 담아낼 수 있는 문장이 써질 때까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공학적으로 배치할 것. 모든 문장이 제 자리에 놓이도록 만들어서 더할 것도, 뺄 것도 없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형철은 다시 사족(蛇足)을 단다. 자신이 쓴 글들은 그가 설정한 기준에 언제나 미달했음을 고백한다. 고백은 고백일 뿐. <인생의 역사>에서 담고 있는 문장은, 그가 제시한 글쓰기의 준칙에 부족함이 없다.

누구도 시인들만큼 잘 묻기 어렵다고 한다. 신형철은 그들로부터 질문하는 법을, 그 자세와 열정, 그리고 끈기를 배운다. 그것이 그가 시를 읽는 이유 중 하나다.

인생은 질문하는 만큼만 살아지기 때문이다. <인생의 역사>를 넘기다 보면 표지 그림이 담긴 엽서 한 장을 만나게 된다. 그 엽서에 쓰인 글귀를 옮긴다. “나에게 절실히 필요한 문장이 있는데 그게 무엇인지는 모른다. 어느 날 어떤 문장을 읽고 내가 기다려 온 문장이 바로 이것임을 깨닫는다.

이 책에 그런 문장이 하나라도 있다면 저는 얼마나 좋을까요. 신형철”. 그의 책에서 나에게 절실한 문장, 내가 기다려온 문장을 수첩에 적는다. 빼곡히 수첩 여백이, 신형철의 문장들로 채워진다. 나는 좋은 책을 만났다.

▲ 이성희 서운중학교 교감
▲ 이성희 서운중학교 교감

/이성희 서운중학교 교감



관련기사
[이성희의 탐독생활] '20' 이금이 『알로하, 나의 엄마들』 사진 한장, 소설가 이금이의 눈길을 끈다. 한인 미주 이민 100년사를 다룬 책에서 맞이한 운명적인 만남이다.사진 속에는 흰 무명 치마저고리를 입은 조선의 세 여성이 각기 양산과 꽃, 부채를 든 채 앉아 있거나 서 있었다. 무척이나 앳돼 보이는 그들은 한 마을에서 함께 떠난 '사진 신부'들이다.그 한장의 사진은 한인 이주여성들의 곡진한 삶으로 다시 태어난다.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자를 태운 갤릭호가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대한제국 정부가 최초로 인정한 공식 이민자들이다. 사탕수수 농장 노동 [이성희의 탐독생활] '19' 이사 레슈코 『사로잡는 얼굴들』 45장의 사진으로 만나는 초상. 동물에게 노년을 허하지 않는 세상에서 기적적으로 노년을 맞은 동물들은, 침묵한 채 초연한 얼굴로 독자들에게 말을 건넨다. 사진 한장 한장,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없다. 보는 내내 먹먹하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것이 있다. 평안하게 살다가, 자연스럽게 나이 들어가는 삶이다. 농장 동물들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현실과, 당연한 그 소망과의 간극은 너무 크고 깊다. 현실을 정면으로 바라보기 힘들 때가 있다. 특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이 불편한 진실을 담고 있을 때에 더욱 [이성희의 탐독생활] '18' 서현숙 『소년을 읽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 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 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 정현종 시인의 시 '방문객'의 전문이다. 책을 읽는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책을 쓴 이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그 어마어마한 일이 누구에게는 손쉬운 일상이지만, 그 누군가에겐 [이성희의 탐독생활] '17' 김상균 『게임인류』 만화방이 있었다. 초등학교에 입학도 하기 전부터 들락거렸다. 한글을 만화방에서 깨우쳤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어린 시절 만화방과 함께 나의 시선을, 발걸음을 유혹하는 것이 또 있었다. 갤러그 게임기였다. 학교 앞 문구점은 내 또래 아이들로 북적거렸다. 그 요물단지는 아이들의 손때 묻은 동전을 순식간에 삼켜 버렸다. 얼마 뒤 동네에 여러 대의 게임기를 갖춘 오락실이 생겼다. 우리들의 놀이터는 골목과 운동장에서 오락실로 바뀌었다. 그로부터 40년이 지났다. 만화방은 인터넷 웹툰으로 바뀌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이나 컴퓨 [이성희의 탐독생활] '23' 심윤경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 학교, 직장, 문화, 친구, 성취와 우정. 심윤경이 누렸던 20대까지의 삶이다. 모두 두 글자 이상이다. 심윤경은 나이 서른이 넘어 아기에게 '꿀짱아'라는 예쁜 애칭을 붙여주고 엄마로 살기 시작한다. 아이와 함께하는 세계는 쉬, 똥, 침, 코, 토, 잠, 젖, 신기하게 모두 한 글자다. 한 글자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 서툴기만 하다. 현실 세계는 책과 달랐다. 생명과 양육 활동의 무게가 만만치 않다. 몸과 마음은 거의 언제나 녹초였다. 엄마가 된다는 건, 심신이 피폐해지는 일임을 미처 몰랐다. 마주치는 고비마다 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