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은 수업 줄고 내용 늘어

지난 8일 강득구 의원실(더불어민주당)과 수학교사모임연합은 새 교육과정 시안의 적정성에 대해 전국 중·고교 수학교사 3554명이 참여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결과 현장 교사의 77.1%는 ‘새 교육과정이 기초학력 저하 문제에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또 응답자의 87.0%는 ‘새 교육과정이 사교육 경감에 도움이 안 된다’고 봤습니다. 교사들이 이처럼 응답한 이유는 줄어든 수업 시간에 비해 학습 내용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2에서 삭제됐던 행렬이 이번에는 고1 공통과정에 추가됐습니다. 그러면서 고1에서 가르치던 이차함수의 최대·최소는 중3으로, 중3에 있던 대푯값은 중1로 연쇄적으로 이동했으며, 고교에서 늘어난 학습 부담이 중1까지 확대됐다는 것입니다. 또 중2는 2009 개정 때 삭제된 증명 용어가 다시 도입됐고, 중3은 통계에 상자그림이 추가됐으며,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기하’에는 2015년 개정으로 빠진 모비율과 공간벡터가 각각 부활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교사들의 절반가량(48.8%)은 “학습 내용이 너무 많아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학년별로는 중3이 54.1%(부족 37.2%, 매우 부족 16.9%)로 가장 시간 부족을 우려했습니다.

 

▲ 생일케이크.
▲ 생일케이크.

상대방의 생일을 맞추는 숫자 마술

숫자를 적절히 활용하면 상대방의 생일을 맞출 수 있습니다. 몇 가지만 알아 두면 되는데, 먼저 계산기나 스마트폰의 계산기 앱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상대방의 생일이 7월27일이라고 하면, 727로 표기합니다. 만약에 생일이 1월 일이라면, 표기는 101로 합니다. 상대방에게 “너의 생일에 5를 더해, 다시 5를 곱해, 다시 8를 빼, 다시 4를 곱해, 다시 5를 더해, 다시 5를 곱해, 처음에 넣었던 생일값을 다시 더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따라해 봅니다.

 

생일 표기하기(예를 들면, 727)

(생일값)+5=A

A×5=B

B-8=C

C×4=D

D+5=E

E×5=F

F+(생일값)=G

G-365(최종값에서 365를 빼기)

====================

(727)+5=732

732×5=3660

3660-8=3652

3652×4=14608

14608+5=14613

14613×5=73065

73065+(727)=73792

73792-365=73427

이렇게 하여 나타난 숫자 73427에서, 맨 앞자리(7)와 맨 뒷자리(27)의 2자리 숫자를 보면 상대방의 생일을 알 수 있지요. 이처럼 계산을 통해 상대방의 생일을 맞추는 ‘숫자 마술’은 많이 있답니다.

 

 

숫자 두 개 붙이기 마술

생각한 숫자(상대방의 생일 포함)만 맞추는 것은 식상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상대방이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숫자를 맞춰 보는 마술을 해 봅시다. 우선 상대방에게 “머릿속으로 세 자리 숫자를 생각하고 기억해주세요.”라고 말합니다.

(예) 727

“그 숫자에 7을 곱해 주세요.” 727×7=5089

“나온 숫자에 11을 곱해 주세요.” 5089×11=55979

“다시 나온 숫자에 13을 곱해 주세요.” 5979×13=727727

“나온 숫자는 얼마인가요?” “네, 727727이에요.”

“생각하고 기억한 숫자는 727이군요.”

이와 같은 숫자 마술은 신기하고 신비스러워요. 계산하면서 숫자가 커지게 되니 암산보다는 계산기 사용이 필요한 마술입니다.

 

 

머릿속에 떠올린 숫자 맞추기 마술

머릿속에 떠올린 숫자를 맞추는 거예요. 간단하니, 같이 따라해보세요.

(예)2

“숫자 하나를 떠올려보세요.”

“그 숫자에 2를 더해 주세요.” 2+2=4

“나온 숫자에 5를 곱하고 15를 더해 주세요.” (4×5)+15=35

“다시 나온 숫자에 2를 곱해 주세요.” 35×2=70

“나온 숫자에서 0을 없애고, 그 0을 없앤 숫자에 5를 빼주세요.” 7-5=2

그럼, 머릿속에 떠올린 숫자 2가 됩니다. 이와 같이 미지수를 구하는 것이 수학에서는 방정식인데요. 여러분들이 방정식을 세워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숫자 마술은 결국, 방정식의 해를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최우성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수포자도 수학1등급 받을 수 있어' 저자



관련기사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지구를 구하는 히어로 어벤져스 커지고 작아지는 양자역학이 영화로개봉하는 영화에서는 양자역학이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양자역학도 수학과 관련이 있는데, 바로 ‘복소수’랍니다. 허수는 있지 않는 수를 의미하는데, 이 허수라는 용어를 사용한 수학자는 데카르트입니다. 또 복소수라는 용어를 도입하고, 복소수를 평면에서 점으로 표현한 수학자는 가우스예요. 복소수는 ‘a+bi(i는 허수, i의 제곱은 -1)’입니다. 복소수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경우로는 양자역학, 만델브로 집합의 프랙탈 그림, 교류회로, 빛의 반사율 계산 등이 있습니다.우리는 중국집에 가서 ‘자장면을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생활 속에서 발견하는 문자와 식 ▲ 생활 속에서 발견하는 문자와 식중학교 1학년 수학 시간에 문자와 식 단원을 지도할 때 문자를 사용하면, 수량이나 수량 사이의 관계를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늘 보는 생활 공간에도 간단하고 편리한 기능을 하는 표식들이 즐비하답니다. 가령, 비상구 표지판, 화장실의 남녀 구분 표지판, 도로교통 표지판 등과 같은 기호는 간단하면서 편리한 속성을 지니고 있지요. 아이들과 문자와 식을 수업할 때 표지판을 예로 보여 주면, 기호를 사용하면 표현이 간단하고 편리해짐을 알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수학에서 문자나 수, 기호를 ['수포자'가 수학1등급 되기] 악기의 진동이 소리로, 소수를 아는 매미 악기의 진동이 소리로제곱근이라는 용어를 들어 보았나요? 제곱하여 4가 되는 수에는 2와 -2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어떤 수 x를 제곱하여 a가 될 때, x^2=a일 때, x를 a의 제곱근이라고 합니다. 이 제곱근은 음악과도 관련이 깊어요.우리에게 아름다운 음악을 선사하는 악기들은 구조와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현악기, 관악기, 건반 악기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즐거움을 주는 악기 소리의 원리를 알면 더욱 실감나게 연주를 감상할 수 있지요. 주변에 있는 종이컵, 야쿠르트 병 등 각종 병의 입구를 불어 소리를 내 본 적이 있나요? 당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