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이 우리나라의 3항(港)중심 체제로 전환되고 인천항과 중국을 잇는 컨테이너선 정기항로가 내년이후 개설 되리라 한다. 특히 정부가 인천항 활성화를 위해 내년 국가항만발전계획을 세울때 현재 부산, 광양 2항만 중심으로 돼있는 전략을 인천항을 새로 포함해 3항 체제로 바꾸는 것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혀 침체 일로에 있는 인천항으로서는 주목할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정우택 해양부장관은 8일 인천항만연수원에서 열린 민주당 인천시지부 초청간담회에서 중국 경제가 급격히 발전하고 한중간의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항 개발시기를 놓치면 활성화가 어려워 진다고 진단했다. 때문에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인천항이 메가허브포트(megahub port)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해 인천하역계가 거는 기대가 크다. 더구나 정 해양수산부장관은 오는 9월 열릴 제9차 한중해운협의회에서 인천항의 대중국 컨테이너선 정기항로 개설의 필요성을 협의할 것임을 밝혔다.
 인천항은 최근들어 수출입 물량감소와 항만 이용료 부담으로 외항선들이 입항을 꺼려 타항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인천항은 조수간만의 차가 너무 심해 기존의 갑문시설을 이용치 않을 수 없는 처지다. 그래서 자연조건을 갖춘 부산, 평택항에 비추어 갑문사용료 접안비, 하역비 등의 엄청난 비용의 추가부담으로 선박들이 입항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가하면 인천항은 한중교류가 증폭되면서 유리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으면서도 잘못된 국가항만발전 계획에서 제외돼 컨테이너선 정기항로 하나 개설치 못해 쇠퇴의 길을 걸어왔던 것이 그간에 사정이다. 그러나 인천항이 이런 악조건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를 비롯해 정치, 항만 등 각계 각층에서 무관심으로 일관해 인천항을 2류항으로 후퇴시켜 왔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지역항만 업계와 정치권 등은 불꺼져가는 인천항의 수출입 화물의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함을 강조한다. 인천항의 관세자유지역 지정과 남·북항의 조기 건설도 시급한 과제다. 정 해양수산부장관의 약속을 기대한다. 인천항의 공동화현상은 국가경제에도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