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관계가 팽팽한 긴장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른 갖가지 정부 대책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남북 교류 최후의 보류였던 개성공단이 운영을 중단한데 이어 대테러방지법을 놓고 여야 정치권이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여기에 전례가 없던 초강경 대응으로 북한을 압박하겠다는 국제사회 결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이런 남북 관계 급랭은 시민들 생활 속에서도 고스란히 묻어나고 있다.

인천의 경우 개성공단 운영 중단으로 제때 교복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했을 정도다. 2일 개학을 하더라도 인천지역 중학교 12개교와 고등학교 13개교 신입생들은 교복을 입지 못하게 됐다. 남북 관계 긴장이 최전방 지역을 넘어 다른 지역 주민들에게도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북한을 바로 앞에 둔 지역 주민들의 삶은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북한이 연평도를 포격한 지 올해로 6년째다. 이후 인천 백령, 연평도 서해5도 지역 주민들은 하루하루 긴장의 끈을 놓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다.

특히 지난달 20일에는 백령도 해상 인근에서 북한이 해안포를 사격, 주민들이 대피하기에 이르렀다. 이만하면 서해5도 지역 주민들은 긴장 속에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밖에 없는 지경이다. 그러나 이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는 소홀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평도만해도 보건지소에는 주민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해 줄 정신과 전문의나 전문 요원은 없다. 방문 간호사가 취약 계층 등을 찾아가 우울도를 조사하고, 상담·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전부라고 한다. 그렇다고 주민들이 생계를 뿌리치고 육지로 나와 진료를 받기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하니 답답한 노릇이다.

옛말에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말이 있다. 남북 관계 개선 여지가 보이지 않는 현재, 주민들이 놀랄 일만 더 늘어날 수 있다. 다양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다. 정부와 인천시는 주민들을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 계획을 내놔야 한다.

이는 곧 주민들이 마음 편히 터전에서 살 수 있는 기본이 될 것이다. 남북 관계 해법 찾기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이로 인해 고통 받는 국민들을 보듬는 것이 정부와 인천시의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