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재단의 밑그림이 거의 완성단계다. 우여곡절을 겪으며 일곱번이나 설립추진위원회의 회의를 거친 지금, 인천문화재단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재단 출범을 위한 발기인 구성여부나, 사무실 위치 문제 등 첨예한 사안들도 정리가 돼가는 느낌이다. 예정된대로 11월 출범은 무난할 듯 싶으나, 운영의 기본틀이 될 ‘정관’ 작업과 재단을 이끌고 책임질 대표이사 선임문제가 아직 남아있다.
지난달 말 열린 7차 회의에서 설립추진위원들은 대표이사 선임 방식으로 시가 내놓은 ‘공모’방식에 대해 찬·반 논쟁을 벌였다. 격론 끝에 결국 상황에 따라 공모와 추대 방식 중에서 선택·운영하는 방향으로 결론지었지만 논쟁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시가 공모방식을 취한 이유는 ‘투명성’에 있다. ‘시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인물을 대표자리에 꽂았다’는 의혹을 남기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이에 대해 반대의견을 개진한 위원들은 ‘공모’ 방식이 투명성에 대해선 이견이 별로 없었지만, 과연 공모가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해선 의문을 제기했다. 문화·예술계의 특성상, 적임자로 손 꼽히는 전문가들이 자칫 자신의 경력에 누가될 지 모를 일을 저지르긴 만무하다는 게 그 이유다.
공정하게 ‘추천위원회’를 구성하면 투명성과 민주적 절차는 보장되고, 특히 지역 문화·예술계가 공감하고 존경하는 인물이 대표이사에 선임하기 위해선 ‘추대’가 더 났다는 의견이다. 위원들은 오히려 시가 쉬운 길을 선택하려 한다며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1천억원의 기금이 조성되고, 매년 60억원에 달하는 세금이 들어가는 재단의 책임자를 뽑는 일이다. 당연한 논쟁이다. 불모지나 다름없은 인천 문화·예술계를 위해서도, 그 수혜대상인 시민들을 위해서도 시간은 문제가 안된다. 최적의 방법을 찾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