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주력산업인 제조업 분야에 구조적인 변화가 일고 있다는 것이 감지돼 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들어 공항개항과 경제특구 조성사업 등의 영향으로 그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방정부는 너무 둔감해 왔다. 이러니 지역경제계에 우려의 소리가 잦아들지 않는 것은 당연지사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때 시 산하 연구기관인 인천발전연구원이 지역제조업의 구조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책 강구를 촉구하는 보고서를 내 놔 관심을 끌고 있다.
 인발연은 이 보고서에서 우선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과 관련된 대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인천국제공항, 서북부매립지 등에 앞으로 상당수 국내외 기업들이 들어설 전망이나 중앙정부가 승인한 도시계획상 공업용지를 전부 활용한다 해도 용지부족난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공업지역 확대 및 배치계획 수립, 아파트형 공장 확보 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했다.
 시가 역점적으로 추진중인 자동차부품 생산기지 육성사업과 관련해서도 자동차부품 기술관련 지역혁신센터 설립, GM대우차 본사 및 연구기능 지역유치 등을 서둘러야 하다고 지적했다. 인발연은 아울러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과 때맞춰 연구개발예산을 현재의 총예산대비 0.88%에서 2% 수준으로 높이고 영세공장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중앙정부의 산업입지 정책도 지역 실정에 맞게 수립 시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한 구조조정의 와중에 있는 제조업의 활성화를 위한 이런 유형의 문제제기가 물론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90년대 들어 제조업의 성장력 둔화가 가시화되면서 경제단체들은 기회 있을 때마다 산업입지 강화와 기술개발 지원방안의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하지만 이번의 문제제기는 시 산하연구기관이 던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해야 할 것이다. 그만큼 절박함을 인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제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뿐더러 새 도약의 기회로 거론되는 공항개항과 경제특구 개발 역시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면 지역경제에 득보다는 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만시지탄의 감이 없지 않지만 이제라도 지역내 제조업 분야에 대한 철저한 실태 파악과 발전전략 모색을 서둘러야 할 때이다. 시의 발빠른 대처를 촉구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