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주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이 지난 28일 오후 인천일보사 4층 대회의실에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우리의 대응’이란 주제로 제 5기 ESG 최고 전문가과정 특강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바론교육

“공급망 교란에 대응하려면 각국의 경제안보 정책부터 알아야 합니다.”

박원주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의 말이다.

박 전 수석은 지난 28일 오후 인천일보사 4층 대회의실에서 바론교육 주최, 인천일보 후원으로 열린 제 5기 ESG 최고 전문가과정 4주차 특강 강사로 나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우리의 대응’이란 주제로 강의했다.

그는 “미국의 산업정책은 미국 주도 반도체 생태계 재편 전략의 구체적 내용에 전념하고 있으며 중국은 한국 반도체산업의 적대적 인수합병(M&A)과 인력·기술 탈취 전략, 한국 기업 및 연구소 등의 대중 기술협력 모니터링에 주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일본은 반도체 제조업 부활정책 분석과 일본-대만, 일본-미국, 일본-유럽연합(EU) 차원의 반도체산업 협력 동향을 점검하면서 이에 적극 대응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고, EU는 자국 내 반도체 투자전략을 점검하는 한편 반도체 설계분야 생태계 변화 분석 및 전략 도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주요 국가의 산업정책을 토대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 할 경우 한국 경제의 미래는 기약하기 어려운 만큼 반도체산업 생태계 다변화와 초격차형 미래기술 개발 전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박 전 수석은 한국 반도체산업의 과제로 △10나노 이하 파운드리 생산능력 확대 및 메모리 반도체 시장점유율 수성 △생산장비 자급률 제고(글로벌 반도체 장비 메이저들의 한국 직접투자) 확대 △소재 공급선 다변화 △패키징 자급화 △첨단 초격차기술 개발 △로직 반도체, 후공정, 칩 설계, 장비 등 기존 취약분야 기술 개발 및 시장 개척 등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방안을 내놨다.

그는 “미·중 갈등이 불러온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이런 가운데 최근 ‘185조 원’에 달하는 전기차·배터리·태양광 제품을 무더기 해외 시장에 쏟아내면서 글로벌 공급망을 뒤흔들고 있는 중국의 예를 보더라도 세계 반도체 시장질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한국 경제의 미래는 기약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박 전 수석은 서울대 경제학과와 서울대 대학원 정책학과를 나와 미국 인디애나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31회로 공직에 입문해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조정실장, 산업정책실장, 에너지자원실장, 특허청장 등을 역임했다.

/이민주 기자 coco0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