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은 50만여명으로 태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장기적으론 100만명까지 확충해야 한다는데, 이를 위해선 출연 연구기관 규모 확대를 비롯해 일자리 및 처우 개선 등이 절실하다고 분석한다. 우리나라를 지금보다 더 잘살게 하려면, 과학기술 연구원들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을 국가와 지자체에서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 투자하는 데 인색하다간 나중엔 회복 불가능한 퇴보에 놓일 수밖에 없는 관측을 낳는다.

이와 관련해 인천의 상황은 어떨까. 지역 내 총생산이 사상 처음 100조원을 넘어서며 경제 규모 2위 도시로 올라섰지만,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지자체 투자는 전국 최하위권이다. 인천시가 수립한 '제5차 과학기술 진흥 종합계획(2024∼2028)'을 보면, 2021년 기준 과학기술 예산 비중은 0.2%로 집계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16위에 그친다. 과학기술 투자는 공공부문에서 유독 뒤처지고 있다. 민간 투자를 포함한 인천 총 연구개발비는 3조2270억원으로 전국 여섯 번째이지만, 2017∼2021년 연평균 지자체 투자 증가율은 -0.6%로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전국 평균인 12.1%에도 한참 못 미친다.

과학기술 투자 앞날도 밝지 않다. 올해 인천시 본예산을 보면 일반회계 재원 배분에서 과학기술 분야는 373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예산 432억원에서 59억원이 줄었다. 과학기술 분야가 오히려 정책 후순위로 밀려난 셈이다. 정책이 민간 과학기술 역량을 뒷받침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공부문 연구 기관 수는 17개로 전국에서 가장 적다.

과학기술 분야의 투자 효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예산 우선순위에 놓지 않는 것은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처사다. 국가는 물론 지자체에서도 실질적으로 과학기술에 투자할 수 있는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려야 한다.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선 과학기술 인력을 키워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밖에 없다. 지자체의 과학기술 정책은 전문인력 양성 기반 확대와 연구개발 자금·기술사업화 지원 확충 등에 집중돼야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인천시가 우리의 미래 먹을거리를 창출할 과학기술 투자 예산을 늘리는 데 힘을 더 쏟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