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고양·수원 13개 지역구
민주당 20·21대 10·11곳 차지

국힘은 도농복합도시서 강세
이해득실상 보수쪽 유리한 셈

▶관련기사: [총선 1년 앞] 선거구제 개편 논의, 경기도 정치 지형 흔든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인천 미추홀구 용현5동 사전투표소를 찾은 한 유권자가 비닐장갑을 착용하고 투표하고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4일 인천 미추홀구 용현5동 사전투표소를 찾은 한 유권자가 비닐장갑을 착용하고 투표하고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중대선거구제 이해득실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대선거구제를 적용하면 수원, 화성, 용인, 성남 등 대도시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도시처럼 인구가 밀집한 지역은 3∼5명을 뽑는 방식을 적용하고, 농어촌 등 인구 희박 지역은 1명을 선출하기로 한 탓이다.

아직 선거구가 어떻게 합쳐질지 등에 대해선 결정된 바가 없다.

다만 대도시가 합쳐진다고 가정하면 민주당에게 불리할 것으로 분석된다.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인 용인, 고양, 수원시에는 13개 지역구가 있다.

수원시의 경우 지역구 5곳 모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 용인시는 지역구 4곳 중 3곳이, 고양시도 4곳 중 3곳이 민주당 후보가 됐다. 13곳 중 11곳이다. 20대에서도 13곳 중 10곳을 민주당 후보가 차지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농촌 등 인구가 비교적 적은 도농복합도시에서 강세를 보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건, 문재인 전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 일부 후보의 세월호 막말 논란 등 악재 속에서도 경기지역에선 국민의힘 후보 7명이 당선된 곳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천시, 여주양평, 포천가평, 동두천연천군 등이 도농복합도시다.

비 도심지역이 많은 화성시갑, 남양주시병, 평택시갑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5% 내로 졌다. 이곳 모두는 20대 총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된 지역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 특수사항만 없다면 국민의힘 등 보수 강세지역으로 평가받는다.

민주당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던 선거구는 3∼5명까지 당선될 수 있는 중대선거구로, 국민의힘 후보에게 표가 더 나오는 도농복합지역은 소선구제로 유지된다면 이해득실 상 보수 쪽에 유리한 셈이다.

수원시 선거구 5곳이 하나로 합쳐진 중대선거구가 될 경우를 가정한다면 21대처럼 민주당 후보가 모두 당선될 가능성은 현저히 적어진다. 정당 득표율은 민주당 33.66%, 국민의힘 29.39%, 국민의당 26.2%, 정의당 8.11% 등 어느 한쪽에 표가 집중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선거구 5곳에 출마한 지역구 후보 득표를 분석해본 결과 민주당이 57.33%, 국민의힘은 39.08%이 나온다. 정당한 곳에서 후보 여러명이 출마한다 하더라도 민주당은 2∼3곳이 최대치로 계산된다. 용인, 화성, 성남 등 타 지역도 비슷하다.

민주당 관계자는 "실제 어떻게 적용될지가 관건인데, 아무것도 나온 게 없어서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인구가 점점 유입되고 있는 신도시 특성상 민주당이 강세이지만, 중대선거구제가 되면 한쪽만 독식하지 못하게 될 것 같다"고 했다.

/이경훈·최인규 기자 choiinkou@incheonilbo.com



관련기사
[총선 1년 앞] 선거구제 개편 논의, 경기도 정치 지형 흔든다 내년 총선 1년을 앞두고 있다. 선거제 개편 중심에 선 중대선거구제를 놓고 각 정당이 이해득실 계산에 분주하다. 승자독식의 소선구제를 유지하느냐, 아니면 차점자도 국회에 입성할 수 있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느냐에 따라 사표가 많았던 경기도 정치지형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무더기 사표 나오는 경기도?경기도의 경우에는 정당 득표율과 의석수 불균형 차이가 크다. 21대 국회의원 선거 기준을 놓고 본다면 더불어민주당은 59석 중 51석을 차지했다. 전체 의석 대비 86.4%다.그런데 민주당(당시 더불어시민당) 정당 득표율은 34.72%, 어느 안이든 현 양당 체제보다 대표성 강화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1년을 앞두고 국회의 '선거제 개편안' 논의에 정치권 반응이 뜨겁다. 선거제 개편은 정당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탓에 추진하기 어려운 과제 중 하나로 꼽힌다.2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국회의장이 연초에 화두로 던진 선거제 개편은 지난달 30일부터 시작한 국회 전원위원회에서 논의가 시작됐다.제안된 개편안은 ▲도농복합형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와 권역별·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와 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등 3가지다. 어느 안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