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재개발 길이 험난하다. 사업 참여자들의 포기로 해를 넘기게 됐다. 지난 9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이어 이달에는 CJ CGV도 내항 1·8부두 재생 사업에서 철수를 선언했다. 원점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이처럼 기업들이 사업에서 잇따라 이탈하면서 장기간 표류할 전망이다. 시는 인천도시공사 참여를 타진하고 있지만, 이것도 불투명하다. 결국 누가 참여하든 전체 재개발 계획 수정은 불가피해졌다.
인천시·LH·인천항만공사 등은 2016년 내항 1·8부두 재생 사업을 민간에서 공공개발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맺었다. 그런데 이 사업을 주도하던 LH가 주택공급과 주거복지 등 고유 영역과 맞지 않는다며 사업을 포기했다. 이어 최근엔 옛 곡물창고를 문화혁신 공간으로 조성하는 '상상플랫폼' 사업에도 운영주체인 CJ CGV가 손을 뗐다. 1978년 건립된 곡물창고는 전체 넓이 1만2150㎡ 규모로 기둥과 내벽이 없는 단일 창고론 아시아 최대 규모다. 항만 재개발 계획에 따라 2016년 4월 폐쇄됐다. 아무튼 해양수산부와 인천시가 10여년간 공을 들여온 내항 재개발 사업은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이들 기업의 사업 포기 배경엔 우선 수지타산을 꼽을 수 있겠다.

기업 특성상 사업 수익을 내야 한다는 점은 이해하지만, 무책임하다는 비난에선 자유롭지 않다. 처음엔 참여를 선언해 놓고 나중에 따져보니 안되겠다며 발을 빼는 모습은 정말 볼썽 사납다. 아무리 기업 가치를 감안해도, 이익만 따져 책임을 회피하는 일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러지 않아도 상상플랫폼 사업의 경우 많은 시민이 CGV가 작년 7월 운영사업자로 선정됐을 당시 대기업 이윤 창출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며 반대를 했다. 인천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도, 시민들에겐 그저 바라만 봐야 하는 곳으로 인식돼 왔다. 대부분 철책으로 막혀 시민들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마 내항 재생 사업은 꽉 막혔던 일부 바다를 개방하는 일이어서 시민들의 기대를 모았다. 관계 당국은 이런 점을 고려해 기업의 이익보다는 공공성을 최우선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내항 1·8부두를 공원녹지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주장도 검토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