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지역과 인접한 통진서 확진...인천에 남은 5000마리 감염 우려
▲ 3일 김포시 통진읍의 양돈동장에서 국내 13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가운데 김포시 대곶톨게이트에서 차량들이 방역시설을 통과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인천 강화군 전체 돼지 4만3600여 마리에 대한 살처분이 완료됐다.

하지만 인천과 경계가 맞닿은 김포시 통진읍 농장에서 13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면서 확산 불안감이 다시 커지고 있다.

북한 멧돼지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도 제기된다. ▶관련기사 2면

인천시는 3일 새벽 강화군 39개 농장에서 기르던 4만3602마리 돼지에 대한 살처분을 끝냈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송해면에서 첫 ASF가 확진된 이후 나흘 만에 5개 농가로 확산되자 강화군 모든 돼지에 예방적으로 이뤄진 조치다.

시는 태풍 '미탁'의 한반도 상륙 이전에 살처분 조치를 서두르겠다고 밝힌 바 있다.

26일 강화군 하점면 확진 이후 닷새간 주춤하던 ASF는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서구와 인접한 김포시 통진읍 돼지농장에 13번째 ASF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인천 내륙에 남아 있는 5000여마리에 대한 감염 우려도 커지고 있다.

ASF의 감염 경로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지난 5월 북한에서의 ASF 확산이 알려졌으나 그동안 이와 연관됐다는 증거가 없었다.

하지만 점차 북한 멧돼지가 매개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환경부는 경기도 연천군 비무장지대에서 전날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태풍의 영향으로 멧돼지 폐사체 등이 임진강을 떠내려 올 가능성에 대비해 하천수 바이러스와 부유 폐사체 조사, 포획틀 설치 등 예찰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강 하구의 접경지 감시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권(비례) 의원이 인천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달 17일 오전 6시쯤 강화군 교동면 철책선 군부대 감시카메라를 통해 해안가에서 14시간 머물다가 사라진 멧돼지가 포착됐다.

이후 시는 지난달 18일부터 23일까지 교동도와 인근 지역에 멧돼지 포획틀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한강 하구 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야생동물의 월경을 통한 ASF 전파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광범위한 하천 시료 채취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



관련기사
ASF, 北서 왔나…멧돼지, 철책 '들락날락'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천 강화군 돼지 4만여마리가 살처분된 가운데 강화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나오기 일주일 전 멧돼지가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이를 두고 맷돼지 등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 동물이 물길을 통해 북한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인천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오전 6시쯤 강화군 교동면 인사리 해안가의 철책선 안쪽 모래톱에서 멧돼지 3마리가 발견됐다.감시 카메라를 통해 포착된 멧돼지들은 북한에서 넘어온 것으로 추정 방역대책본부, 바이러스 확산 방지 '비상근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산되는 가운데 인천시의 대처가 비록 침투는 못 막았지만 확산은 저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ASF가 5건 발생한 인천 강화군지역은 농가에서 사육하는 돼지뿐 아니라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용 돼지 포함 4만3602두가 3일 모두 살처분을 완료했다. 인천지역 전체 돼지의 88%를 차지하는 강화군 돼지가 모두 살처분됨에 따라 인천에는 남동구 2곳 700마리, 서구 1곳 2700마리, 계양구 1곳 570마리, 옹진군 2곳 1100마리 등 6곳 돼지농가에 5070두가 남아 있다. 강화군은 돼지가 한 마리도 없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