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과 보건자료들을 공유하는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8일 '제4차 산업혁명과 환경 관리' 보고서를 통해 대기·수자원·상하수도·자원순환·자연환경·기후변화 및 에너지·환경행정·환경보건 등 8개 분야의 스마트 환경관리 전략을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 및 자연환경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 실시간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대기와 자연환경 질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했다.

또 수자원 및 자원순환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수(물)환경 정보와 폐기물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하수도 분야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은 99%, 하수도 보급률은 93.2%에 달하므로 상하수도 시설의 운영 및 안전관리의 첨단화 전략을 강조했다.
기후변화 및 에너지 분야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정책 수요에 대응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과 연계한 에너지 신산업 모델의 개발과 확산을 제시했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공부문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료들을 연계해 통합적으로 공개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각 분야에서 활용함으로써 양질의 자료가 생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재수 기자 jjs3885@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