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경제학에서는 노동, 자본, 기술을 3대 생산요소라고 한다. 개발도상국들은 주로 저임금 노동력에 의존해 경제발전을 했다. 그런데 노동과 자본에 입각한 경제 성장은 한계를 맞이하게 된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인구는 정체되고 인건비는 상승한다.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저축률은 떨어지고 자본도 유리한 투자처를 찾아 떠난다. 1990년대 이후 장기침체에 빠진 일본과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과거 유럽이나 미국도 경험한 바 있는데, 선진국들은 이를 기술혁신을 통해서 극복했다. 신기술을 개발하고 생산성을 높이려고 노력한다면, 노동과 자본 위주의 경제 성장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선진국들은 노동과 자본의 축적은 유한하지만 기술 혁신은 무한하다고 믿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미국은 최고의 생산성을 자랑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생산성은 미국의 60%에도 못 미치는 등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있다. 보스턴컨설팅 그룹에서 발표한 2023년 '세계 50대 혁신기업' 리스트를 보면 기술혁신 측면에서 샤오미와 비야디 등의 중국 기업의 약진을 제외하면 절반은 미국 기업들이다. 혁신기업의 탄생과 몰락을 드러내는 '역동성 지수'에 있어서도 미국은 압도적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삼성전자만 이름을 올렸다.

한국의 경제발전 단계가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선 상황에서, 노동과 자본 투입을 증가시켜 성장을 이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 혁신이 중요하다.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혁신 성장을 실현하려면 사회를 바꿔야 한다. 거의 1%대까지 떨어진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 개혁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구조 개혁과 혁신 성장은 맞물려 있다. 구조 개혁의 성공적 토대 위에서만 혁신 성장이 가능하다.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혁신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 철폐,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개혁 등을 추진해야 한다. 개혁이 성공하려면 노동계나 교육계 등과의 충분한 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구조 개혁에 대한 국민의 인식 공유가 필요하다.

다이내믹 코리아의 성장 엔진이 꺼져 가고 있다.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지닌 기업의 상품이 나라 곳곳에 등장해야 하는데, 시스템과 인물 전체가 과거의 방식대로 굴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혁신 성장에 도움을 줘야 할 정치와 행정도 구태의 늪에 빠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짧은 시간 안에 우리가 이 위기를 돌파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정치가 바로 서야 한다. 정치를 바꾸려면 선거를 통해 대대적인 물갈이부터 시작해야 한다.

▲ 홍동윤 인천시 시민통합추진단 위원
▲ 홍동윤 인천시 시민통합추진단 위원

/홍동윤 인천시 시민통합추진단 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청년 세대의 생존 전략 1980년대는 혁명의 시대였고, 사회과학의 시대였다. 하지만 분노와 저항의 세상을 만들었던 청년들은, 1987년 6월항쟁을 승리로 이끌었던 주역들은, 1991년 5월의 투쟁이 끝나고 약속한 듯이 각자의 일상으로 돌아갔다. 386세대는 민주화 투쟁을 접고 기업과 정당, 시민사회, 노동조합, 문화계 등 각 방면으로 진출한다.386세대는 각고의 노력 끝에 산업화 세대를 권좌에서 밀어낸다. 그리고 김대중과 노무현을 거쳐 문재인 정권 때 비로소 권력의 위계 구조를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평등주의를 버리고 신자유주의를 내면화하면서 대기업과 공 [썰물밀물] 사법 정의와 80을 위한 정치 게오르크 헤겔은 법철학 서문에서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되어서야 날아오른다”라는 말을 했다. 격동의 시대일수록 참된 지식을 얻고 지혜가 생겨나기를 열망하지만, 그 시기가 거의 다 지나가거나 끝나야만 소용돌이에 가려져 있던 실상을 볼 수 있다는 얘기다.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의 타락과 퇴행을 보면서, 민주주의를 쟁취하는 것보다는 그걸 지키고 가꾸는 게 더 힘들다는 걸 깨닫게 된다.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만이 아니라 종교, 법조, 시민사회단체 등 그 어떠한 분야 및 집단의 인물도 국민의 신뢰와 존경을 받지 못 [썰물밀물] 포퓰리즘과 기미 포퓰리즘은 대중 인기에 영합하는 정치사상과 활동이다. 이는 대다수 국민의 요구나 압력에 영합하는 것으로서, 국민 의사를 존중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민주주의는 국민 의사를 존중하는 정치체제이다. 하지만 존중과 영합은 뚜렷한 차이가 있다.민주주의는 국민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되, 다양한 견해를 가진 국민의 뜻에 접근하기 위해 토론과 비판 과정에 의존한다. 이에 반해 포퓰리즘은 대중영합적인 정치인이 국민이 환영할 만한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공약으로 제시하여 정권을 잡거나 유지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포퓰리즘은 정치공학적 계산과 술수에 유 [썰물밀물] 천민 엘리트와 민생 정치가 정치학자 버나드 마넹은 <선거는 민주적인가>에서 “대의 정부는 지금도 여전히 그것이 처음 설립되었을 때의 방식, 즉 사회적 신분이나 생활 방식, 그리고 교육에 따라 시민들과는 구분되는 소위 엘리트들의 통치로 남아 있다.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현실은 단지 새로운 엘리트의 부상과 다른 엘리트의 퇴조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민주화 이후 정권 교체 과정을 살펴볼 때 그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거대 양당이 밥그릇 싸움을 위한 적대적 공생 관계를 형성해 왔다는 점에서 그렇다.거대 양당의 주류인 한국 엘리트들은 학벌만 좋은 천민 엘리트 [썰물밀물] 억울하면 출세하라? 1980년대 전두환의 신군부는 운동권 학생들을 폭력적으로 제압했다. 미국이 광주학살을 방조했다는 의혹을 품었던 학생들은 미문화원에 불을 지르고, 분신 투쟁을 감행하면서 양키 고홈을 외쳤다. 하지만 이런 수준의 싸움으로는 역부족이었다. 군사 독재를 타도하기 위해서는 사상 무장을 통한 조직화와 정치 세력화가 시급했다.민주화 세력은 80년대 중반 민중 민주주의 혁명파(PD)와 민족해방 민중 민주주의 혁명파(NL)로 분리됐다. 그러다가 1986년 민족해방파(NL)가 학생운동의 다수파가 된다. 김일성 주체사상을 수용한 NL은 반미자주화와 민